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속보] 9월 수입물가 7.8% 폭등, 핫머니 투기 극성

연말에 큰 폭의 물가인상 압력 우려돼

9월 수입물가가 7.8%나 급등, 인플레 우려를 확산시키고 있다.

한국은행은 14일 원화로 환산한 9월 수입물가지수가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7.8%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전년 동월 대비 수입물가 상승률은 지난 5월 11.3%에서 6월 8.0%, 7월 7.5%, 8월 5.7%로 낮아졌다가 넉달 만에 오름 폭이 다시 커졌다.

수입물가가 크게 오른 것은 농림수산품과 광산품 등 원자재 가격이 18.2%나 폭등했기 때문.

밀(9.7%), 천연고무(5.8%), 쇠고기(4.2%), 대두(2.4%), 원면(2.1%), 돼지고기(1.5%), 옥수수(1.1%) 등 농림수산식품이 모두 올랐다. 광산품도 두바이유 현물가격이 11.1% 올랐고, 중간재 가격도 1차금속과 석유제품이 오르면서 4.2% 올랐다.

반면에 수입물가와 달리 수출물가는 지난달 -0.4%로 두 달 연속 내려 수출입물가를 고려한 우리나라의 교역조건은 나빠졌다.

그나마 최근의 원화 강세가 국제원자재값 급등의 충격을 완화시켜줬다. 계약통화(수입계약을 맺은 외국통화) 기준 수입물가는 작년 동월 대비 12.4%, 전월 대비 1.0% 올랐지만 원·달러 환율이 4.3% 절상되면서 원화 기준으로는 각각 7.8%와 0.0%에 그쳤기 때문이다.

문제는 앞으로 수입물가가 더 급등할 우려가 크다는 사실이다. 이미 이달 들어 국제적 핫머니가 국제 곡물과 석유시장에 몰려들면서 옥수수값이 사상최대 폭등하는 등 심각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일반적으로 수입물가가 오르면 2~3개월후 국내 물가에도 인상분이 반영돼, 연말에 인플레 압력이 거세질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그러나 한국은행은 이같은 인플레 적신호에도 이날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원화 강세를 막기 위한 것으로, 수출 대기업들을 위해 다수 국민들에게 인플레 부담을 떠넘기는 선택을 한 셈이다.
박태견 기자

관련기사

댓글이 2 개 있습니다.

  • 2 0
    ㅀㄴ

    환율때문에 물가가 오른건 환율을 내려야 해소가 돼지. 금리가지고 장난치단 더 ?돼는수가 있다. 수출많이 했다 구라치려 하지말고 환율을 내려야된다. 어차피 내릴수 밖에 없는 상황이긴하지. 이젠 외국들도 호구노릇안하고 같이 자국환율 내릴거거던.

  • 13 0
    글로벌호구개한민국

    전세계의 소위 경제를 아는 사람들은
    쥐색끼가 글로벌호구라는 걸 알았지
    완전 쥐색끼 한마리 땜에 개한민국이
    전세계 자본꾼들의 놀이터가 되었고
    그덕에 돈없는 서민들만 죽어난다.
    그래도 쥐뿔도 없는 궁민들은 쥐색끼가
    좋다고한다.
    정신차릴려면 멀었다.
    더 당해야지 조중동 딴나라가 사라진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