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저축율, OECD 1위에서 최하위로 곤두박질

미국보다도 낮아져, 한국경제 기반 통째로 흔들

저축강국으로 통했던 대한민국의 가계 저축률이 한없이 추락해 최대 소비국가인 미국의 절반에도 못미치는 수준까지 떨어졌다.

7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경제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가계 저축률(저축액/가처분소득)은 2.8%로, 저축률 자료가 제시된 20개 회원국의 평균 저축률 6.1%에 크게 못미쳤다.

이는 덴마크(-1.2%), 체코(1.3%), 오스트레일리아(2.2%), 일본(2.7%)에 이어 5번째로 낮은 수준이었다.

한국의 저축률은 소비왕국으로 통하는 미국에 조차 역전된 상황이다. 미국은 글로벌 금융위기를 거치면서 소비를 줄여 저축률이 크게 올랐지만, 한국은 여전히 저(低)저축률 상황을 벗어나지 못했기 때문이다.

2007년 2.1%였던 미국의 저축률은 글로벌 금융위기를 맞은 2008년 4.1%로 상승했고, 이후 2009년 5.9%, 2010년 5.7% 등 5% 후반대를 유지했다. 앞으로는 2011년 6.0%, 2012년 6.1% 등 6%대로 올라설 전망이다.

반면 한국은 2007년과 2008년 각각 2.9%였던 저축률이 2009년 3.6%로 반짝 상승했으나 2010년에는 2.8%로 떨어졌다. 글로벌 금융위기를 계기로 한국의 저축률이 미국보다 낮아진 것이다.

특히 2012년 한국 저축률은 2.8%로 전망돼 3.1%인 일본에도 추월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1975년 7.5%였던 우리나라 저축률은 경제성장이 본격화하면서 1986년 20.4%로 처음으로 20% 선을 넘었다.

이듬해인 1987년 3저(低) 호황에 올림픽 특수까지 겹치면서 24.0%로 처음으로 OECD 국가 중 1위에 올랐고, 2000년 9.3%로 벨기에(12.3%)에 밀릴 때까지 13년간 1위를 지켰다. 1988년에는 사상 최고치인 25.9%를 기록하기도 했다.

이후 카드사태로 어려움을 겪던 2002년 저축률은 0.4%로 최하위권으로 떨어졌다가 2004년 9.2%까지 회복했으나 2007년(2.9%)부터는 줄곧 2~3%대 저축률에서 맴돌고 있다.

가계 저축률 급감은 소득 증가율 둔화, 각종 사회부담금 증가, 금리 하락 기조, 소비 행태 변화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는 분석이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낮은 저축률은 투자 및 소비 여력을 감소시켜 거시 정책의 안정적 운영에 제약이 될 수 있다"며 "가계부채가 소득보다 빠르게 늘고 있어 금리 상승 시 경제 전반의 건전성을 해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연합뉴스

댓글이 9 개 있습니다.

  • 6 0
    개명박

    빚내서 아파트 여러채 산놈이 영웅되는 나라다

  • 5 0
    인플레로

    서민 구매력을 모두 빨아다가 부자들 한테 몰아주니 저축할 수 있는 상황이 못 되지!

  • 7 0
    ㅇㄴㄹ

    이게 다 이명박 탓이야

  • 10 0
    지켜보자

    이명박이나 그 졸개들의 70년대 사고에 의하자면 이 상황에서 금리를 올려야 저축율이 늘어난다는 생각은 못하고 저축 강요 또는 저축캠페인를 하자는 발상을 할 것이다. 필시 그리 할 것이다. 지켜 보자.

  • 7 0
    사기정치

    이정부를 믿을수있어야 저축을하지
    만날 사기 거짓 정치를하니 누가 정부를 믿고
    저축하나 믿을수없는 정권

  • 3 0
    미스박

    버블이 꺼지는 날만 기다린다. 싼값에 경매되는 상가 , 아파트 사들여야지.

  • 10 0
    또 국껙~!

    쥐세끼 국껙~!

  • 17 0
    가장 큰 원인

    저축률 감소의 가장 큰 원인은 부동산 때문이다. 부동산(특히, 아파트)은 언제나 돈을 벌어 줄거라는 잘못된 신념때문에 가진 돈과 모자라면 빚을 내어서라도 아파트에 쳐 넣었기 때문임.

  • 14 0
    이게나라냐구멍가게냐

    삽질한국에서 저축할 돈이 어딨냐 나라에서 복지를 해주냐 일자리를 주냐 저축할 돈 있으면 국민들이 은행을 차린다~쓰벌놈들아 이것도 나라라고 웃기고 있네 이게 나라냐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