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호르몬 범벅 '뽀로로 인형' 50만개 시중유통
아이들 불임-정자수 감소 등 심각한 부작용 우려
환경호르몬이 기준치의 최고 360배에 달할 정도로 유해물질 범벅인 '뽀로로' 등 유명 캐릭터 짝퉁인형 50여만개가 시중에 유통된 것으로 알려져, 학부모들에게 충격을 안겨주고 있다.
서울지방경찰청 국제범죄수사대는 24일 이같은 짝퉁 인형을 중국에서 수입·유통시킨 혐의(저작권법 위반 등)로 정모(65·수입업자)씨에 대해 구속영장을 신청하고, 이를 유통시킨 나머지 공범 12명을 불구속 입건했다고 밝혔다.
경찰에 따르면 정씨 등은 2009년부터 최근까지 중국 칭다오에 있는 공장에서 'OEM(주문자 상표 부착생산)' 방식으로 만든 짝퉁 인형 56만여 개를 국내로 들여와 도매업자 박모(53)씨 등에게 판매한 혐의를 받고 있다.
이들 짝퉁인형은 어린이층에 '뽀통령'이라 불릴 정도로 인기가 높은 '뽀로로' '마시마로' '보노보노' 인형의 정품 디자인을 그대로 베껴 만들었으며 'KC인증' 마크를 위조해 유통시켰다.
성분 분석결과 이 인형들에선 정품에는 함유되지 않은 프탈레이트 및 납 성분이 다량 검출됐으며, 특히 정자 수 감소와 불임을 유발시키는 환경호르몬의 일종인 프탈레이트는 기준치 대비 최고 360배까지 검출됐다.
경찰은 국내로 수입·유통된 56만여개 짝퉁인형 가운데 4만7천여개만 압수, 50여만개가 이미 유통된만큼 학부모들의 각별한 주의를 요했다.
서울지방경찰청 국제범죄수사대는 24일 이같은 짝퉁 인형을 중국에서 수입·유통시킨 혐의(저작권법 위반 등)로 정모(65·수입업자)씨에 대해 구속영장을 신청하고, 이를 유통시킨 나머지 공범 12명을 불구속 입건했다고 밝혔다.
경찰에 따르면 정씨 등은 2009년부터 최근까지 중국 칭다오에 있는 공장에서 'OEM(주문자 상표 부착생산)' 방식으로 만든 짝퉁 인형 56만여 개를 국내로 들여와 도매업자 박모(53)씨 등에게 판매한 혐의를 받고 있다.
이들 짝퉁인형은 어린이층에 '뽀통령'이라 불릴 정도로 인기가 높은 '뽀로로' '마시마로' '보노보노' 인형의 정품 디자인을 그대로 베껴 만들었으며 'KC인증' 마크를 위조해 유통시켰다.
성분 분석결과 이 인형들에선 정품에는 함유되지 않은 프탈레이트 및 납 성분이 다량 검출됐으며, 특히 정자 수 감소와 불임을 유발시키는 환경호르몬의 일종인 프탈레이트는 기준치 대비 최고 360배까지 검출됐다.
경찰은 국내로 수입·유통된 56만여개 짝퉁인형 가운데 4만7천여개만 압수, 50여만개가 이미 유통된만큼 학부모들의 각별한 주의를 요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