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이명박의 복심 "8월에 승부 끝낸다"

박근혜 '경선 불참' 경고에 양보 결단

이명박 전 서울시장의 막판 양보가 단연 화제다. 일부에서는 이 전 시장이 당을 위해 ‘실리’를 버리고 '고독한 결단'을 내렸다고 분석한다. 과연 그럴까? 복수의 당 핵심관계자들의 분석은 "액면 그대로의 해석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결론은 실리에서나 명분에서나 이 전 시장측에게 남는 장사라는 것이다.

이명박측 제2항에서 짭짤한 실리 획득

당 핵심관계자는 14일 밤 이 전 시장의 막판 양보를 놓고 “그것이 양보라고 할 수 있나”라고 반문부터 했다. 이 관계자 주장에 따르면, 이 전 시장은 9일 강재섭 대표의 중재안이 나왔을때부터 3항(국민참여선거인단의 67% 투표율 보장)은 이 전 시장측에서 애초 기대하지 못했던 ‘덤’이었다고 주장했다.

반면 그는 중재안 2항 즉 ▲전국 시.군.구별 투표소 설치 ▲권역별 순회투표가 아닌 전국 동시선거 실시를 이 전시장에게 가장 유리한 조항으로 꼽았다. 국민투표참여율을 최대한 끌어올리는 획기적 조치라는 것. 2항만으로도 당심 대 민심의 50:50 비율이 기존 경선 방식보다 훨씬 조정된다는 것이 이 관계자의 설명이다.

이런 상황에서 여론조사 조항인 중재안 3항이 결정적으로 박 전 대표를 올가맸다. 박 전 대표측은 2항에 대해서는 입도 뻥긋 못했다. 만약 중재안 3항이 나오지 않았다면 박 전대표는 2항을 문제삼았을 공산이 크다.

이명박 "8월에 승부 끝낸다"

“8월에 승부를 보겠다”는 이명박 전시장의 결심도 이번 결단의 주요배경으로 지목되고 있다.

이명박 캠프 사정에 밝은 한 당내 인사는 “지지율 조정현상을 겪고있는 이 전 시장으로서는 더 이상 경선을 늦출 수 없다는 속내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강 대표의 사퇴로 비대위 체제로 갈 경우 다시 경선 룰은 원점에서 재협상해야하고 그만큼 경선 일정은 늦춰질 수밖에 없다. 이 인사는 "이 전 시장이 이렇게 가다가는 8월 경선까지 늦춰질 수 있다는 위기감을 느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이같은 위기감은 박 전대표가 '경선 불참' 카드를 꺼내들면서 증폭됐을 것이라는 그의 관측이다. 박 전대표가 실제로 경선 불참후 탈당하지 않고 뒷전에서 상황 전개를 지켜볼 경우 당이 두토막나는 효과를 나타내는 동시에, 끊임없이 박 전대표의 반격을 신경써야 하는 상황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전시장이 여론조사 가중치라는 작은 이익을 버리고 8월 경선에서 모든 걸 끝내기로 결심했을 것이라는 일반적 관측이다.
김동현 기자

관련기사

댓글이 0 개 있습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