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이명박, 대운하 타당성 적극 홍보

"팔당댐 취수원, 양수리 부근 이전 검토"

위장전입 시인으로 궁지에 몰린 이명박 전 서울시장이 17일 한반도 대운하의 타당성을 적극 홍보하며 국면 전환을 시도했다.

이 전 시장은 17일 대방동 여성플라자에서 가진 한반도 대운하 설명회에서 우선 대운하로 인해 수질이 나빠질 것이란 지적에 대해 "한반도 대운하 사업과 관계 없이 국민 여러분께 최상의 식수 공급을 목표로 다양한 방법을 검토해 왔다"며 적극 반박에 나섰다.

그는 우선 한강 수질과 간련, "한강유역의 경우, 취수원 이전이 검토되고 있으며 간접 취수 방식 등을 통해 물이 2급수에서 1급수로 업그레이드된다"며 "수도권 광역상수도 취수지점(팔당댐)을 북한강(양수리 부근)으로 이전하고, 부족분은 강변여과수와 인공함양수로 보충한다"고 말했다.

그는 낙동강 대책에 대해서도 "안동댐 등 7개 상수원 댐을 광역네트워크하고, 간접취수 방식 등을 통해 최대 1급수 원수로 개선시킬 것을 약속한다"며 "이렇게 되면 부산, 대구 등 영남지역 주민들에게 확실하게 더 좋은 물을 풍부하게 공급할 수 있고, 상수원 규제로 고생하는 지역주민들의 민원도 해결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된다"고 주장했다.

그는 "환경부와 건교부가 향후 10년간 수질개선과 하천관리비용으로 계상하고 있는 예산만 수십조원에 달하는데 근본적 해결책도 아닌 땜질식 처방을 위해 국민의 혈세는 계속 낭비되고 있다"며 "운하로 인해 수량이 풍부해지고 수질이 개선되면서 선진국형 취수방식인 강변여과수, 인공함양수 방식 등을 도입할 수 있게 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또 취수방식이 하천에서의 직접취수에서 간접취수로 바뀌면 지금과 같은 상수원 보호 규제는 상당 부분 불필요해지게 된다"며 "그동안 이 취수방식을 도입하지 못한 것은 우리나라 하천의 수량이 일정치 못하고 수질에 문제가 있었기 때문이었는데 대운하 건설로 해결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대운하 사업은 ▲물을 살리기 위한 프로젝트 ▲물류 포화상태와 대기오염을 획기적으로 개선 ▲광주, 나주, 대구, 구미, 밀양, 문경, 상주, 충주, 여주 등 내륙도시가 세계로 통하는 항구도시로 변모 ▲강변 따라 전국이 관광, 레저, 문화 공간으로 변모 ▲대규모 일자리 창출로 경기침체 탈출 등의 목적이 있다"고 밝혔다.

그는 "한반도 대운하 사업은 국민 여러분의 지지와 성원에 힘입에 진행될 것이고 국내외 세계적 전문가들이 참여해 문제점들이 나오면 계속 보완,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며 "국민 세금이 한푼도 안 들어가는 이 사업은 민자로 진행되며 환경영향평가와 사업 타당성 조사 등 공식절차를 밟아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영섭 기자

관련기사

댓글이 0 개 있습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