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상언 "유튜브 권력 스스로 신격화, 종교적 권위에 근접"
"진보-보수 모두 몇몇 유튜브 권력이 득세해 정당정치 개입"
곽상언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9일 "유튜브 권력이 정치 권력을 휘두르는 지금의 현실, 정치는 본질적 위기 속에 있다"며 거듭 유튜브 권력을 비판했다.
고 노무현 전 대통령 사위인 곽 의원은 이날 밤 페이스북을 통해 이같이 말하며 "소위 진보진영에서는 몇몇 유튜브 권력이 득세하고 있고, 소위 보수진영도 마찬가지"라고 지적했다.
이어 "유튜브 권력은 정당정치에 개입하고 있고 휘두르고 있다"며 "지금 유튜브 권력은 ‘민주주의’, ‘진보’, ‘보수’라는 이름으로 스스로 신격화를 시도하고 있고 ‘종교적 권위‘에 근접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순기능은 이미 소멸할 정도로, 역기능이 압도적"이라며 "정치 권력의 위기"라고 단언했다.
그는 "정치는 ’인격의 충돌’이 아니라 ’가치의 충돌‘"이라며 "저는 ‘유튜브 권력이 정치 권력을 휘두르는 현상‘을 정치적 문제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그 현상 한 복판에 있는 특정 개인을 문제의 근원이라고 보지 않는다"면서도 "다만, 그 특정 개인이 이런 현상을 유도했거나 그 현상에 편승하여 정치적/경제적 이익을 보고 있다면, 그 특정 개인에게 정치적 문제가 있는 것은 당연하다. ‘가치‘의 국면이 ’인격‘의 영역으로 이미 전환되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어떤 정치인은 이익과 지위를 탐하며 유튜브 권력에 적극 편승하고 있지만, 많은 정치인은 어쩔 수 없이 체념하며 동참하거나 방관하고 있다"면서 "어느 국회의원이 저에 대해 전혀 다른 이야기를 하고 있다는 보도를 보았다. 저는 그 분이 그 동안 얻은 정치적 이익을 지킬 필요가 있고 그래서 유튜브 권력에 충성하고 있다고 생각할 뿐"이라며 자신을 원색비난한 최민희 민주당 의원 등을 질타했다.
그러면서 "국민에게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 안타깝다"고 덧붙였다.
그는 자신을 비판하는 강성 지지자들에 대해서도 "악플을 달고 계신 분들은 제 글을 제대로 읽어보셨는지 궁금하다. 제 글에는 특정인을 비난하는 내용이 없다"며 "만일 제 글이 ‘그 어떤 이‘를 비난하는 것으로 읽으셨다면, 유튜브 권력에 이미 조종 당하고 계신 것이다. 없는 사실에 근거한 판단이고, 없는 사실에 터잡은 반응이니까"라고 반박했다.
고 노무현 전 대통령 사위인 곽 의원은 이날 밤 페이스북을 통해 이같이 말하며 "소위 진보진영에서는 몇몇 유튜브 권력이 득세하고 있고, 소위 보수진영도 마찬가지"라고 지적했다.
이어 "유튜브 권력은 정당정치에 개입하고 있고 휘두르고 있다"며 "지금 유튜브 권력은 ‘민주주의’, ‘진보’, ‘보수’라는 이름으로 스스로 신격화를 시도하고 있고 ‘종교적 권위‘에 근접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순기능은 이미 소멸할 정도로, 역기능이 압도적"이라며 "정치 권력의 위기"라고 단언했다.
그는 "정치는 ’인격의 충돌’이 아니라 ’가치의 충돌‘"이라며 "저는 ‘유튜브 권력이 정치 권력을 휘두르는 현상‘을 정치적 문제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그 현상 한 복판에 있는 특정 개인을 문제의 근원이라고 보지 않는다"면서도 "다만, 그 특정 개인이 이런 현상을 유도했거나 그 현상에 편승하여 정치적/경제적 이익을 보고 있다면, 그 특정 개인에게 정치적 문제가 있는 것은 당연하다. ‘가치‘의 국면이 ’인격‘의 영역으로 이미 전환되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어떤 정치인은 이익과 지위를 탐하며 유튜브 권력에 적극 편승하고 있지만, 많은 정치인은 어쩔 수 없이 체념하며 동참하거나 방관하고 있다"면서 "어느 국회의원이 저에 대해 전혀 다른 이야기를 하고 있다는 보도를 보았다. 저는 그 분이 그 동안 얻은 정치적 이익을 지킬 필요가 있고 그래서 유튜브 권력에 충성하고 있다고 생각할 뿐"이라며 자신을 원색비난한 최민희 민주당 의원 등을 질타했다.
그러면서 "국민에게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 안타깝다"고 덧붙였다.
그는 자신을 비판하는 강성 지지자들에 대해서도 "악플을 달고 계신 분들은 제 글을 제대로 읽어보셨는지 궁금하다. 제 글에는 특정인을 비난하는 내용이 없다"며 "만일 제 글이 ‘그 어떤 이‘를 비난하는 것으로 읽으셨다면, 유튜브 권력에 이미 조종 당하고 계신 것이다. 없는 사실에 근거한 판단이고, 없는 사실에 터잡은 반응이니까"라고 반박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