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한나라당, '외교안보 정책' 토론회 개막

이명박은 북한재건, 박근혜는 대미관계 복원 역점

한나라당은 19일 오후 2시부터 5시까지 대전 평송 청소년수련회관에서 세번째 당내 경선후보 토론회인 ‘통일.외교.안보 분야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명박, 10년내 북한 1인당 3천달러 달성

먼저 기호1번 이명박 후보는 북한 핵 폐기를 전제로 한 북한에 대한 실질적인 재건 프로그램을 공약으로 내걸며 “대한민국의 어깨에 북한 핵무기를 걸고는 아무 것도 할 수 없다”며 핵 폐기를 전제로 향후 10년안에 북한의 1인당 국민소득 3천달러 달성 지원, 일명 ‘비핵 개방 3000 구상’을 주장했다.

그는 "이를 위해 북한내 철도, 항만, 고속도로 등 인프라 확충과 한강 하구 8백만평 부지에 남북경협 사업을 추진하겠다"며 “북한 주민들이 집집마다 냉장고와 세탁기를 갖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특히 핵 폐기 이전이라도 70세 이상 이산가족의 자유왕래와 인도적 차원의 쌀, 비료, 의약품 지원을 전제로 국군포로와 납북자 송환 등을 북한에 촉구하는 동시에, 비핵화 이후 6자 회담의 틀을 유지하며 유럽의 NATO에 버금가는 동북아 경제안보공동체를 구성할 것을 제안했다.

그는 에너지 안보와 관련해선 아프리카, 중동, 동남아시아, 카자흐스탄 등으로의 에너지 외교 다변화를 강조했다.

한나라당 대선후보들이 정책토론회에 앞서 페어플레이를 다짐하고 있다. ⓒ연합뉴스


박근혜, 대미관계 강화가 외교.안보 1순위

기호 3번 박근혜 후보는 이 후보와 마찬가지로 북핵 폐기를 강조하면서도 대미관계 공고화에 방점을 찍었다.

박 후보는 “미국과 신안보선언을 통해 한미동맹을 21세기에 걸맞는 가치동맹, 경제동맹, 포괄적 군사동맹으로 발전시키겠다”며 “중국, 일본, 러시아 등 이웃국가들과의 신뢰관계도 더욱 튼튼히 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역사와 주권의 문제에 대해서는 엄정하게 대응하되 우리의 국익을 염두에 두고 냉철하고 전략적인 외교를 펼치겠다”며 대미관계 강화의 중요성을 재차 주장했다.

그는 자신의 통일 구상에 있어서는 ‘북핵의 완전 제거(1단계)’, ‘한반도 경제공동체 구축 등 경제통일(2단계)’, ‘정치통일(3단계)’ 등을 주장하며, 그러나 “그 길에서 우리가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과제는 북핵문제로 핵무기를 머리 위에 두고 평화와 번영을 기대할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대북정책에 대해서도 “저는 북한이 변하지 않을 수 없도록 만들겠다”며 “원칙있는 상호주의로 북한의 개혁 개방을 유도하고, 북한이 국제사회의 일원으로 나오도록 반드시 만들겠다”고 말했다.

홍준표, "박근혜는 우파의 포로" 맹공

기호 4번 홍준표 후보는 이명박-박근혜 두 후보와는 달리 경제 11대 강국에 걸맞는 자주적 대미관계를 강조했다.

홍 후보는 “한국의 경제규모가 GDP 기준 세계 11위다. 이제 달라진 국가 위상에 걸맞게 자주외교 노선을 강화해야 한다”면서도 “노무현식의 형식적 자주가 아닌 실질적인 자주, ‘국익 우선주의’를 우리의 외교.안보.통상 정책의 기조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특히 박근혜 후보에 대해 “우파의 포로”라고 맹비난해 이 날 외교.안보 토론에서 박 후보의 이념성을 맹공격할 것임을 시사했다. 그는 “문민정부’, ‘국민의 정부’, ‘참여 정부’를 거치면서 이 땅의 민주화는 달성되었다”며 “지금 이 시점의 시대정신은 ‘탈정치, 탈이념’이다. 노무현 대통령은 좌파의 포로이고, 박근혜 후보는 우파의 포로다. 좌.우 이념대립의 시대는 끝났다”고 역설했다.

그는 햇볕정책에 대해서는 “남북간 화해 분위기를 조성하는데 기여한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그러나 북한이 ‘정상국가화’ 되지 않은 상태에서 ‘평화와 화해’를 추구했던 탓에 김정일 체제에 수동적으로 끌려 다닐 수밖에 없었고, 결국 무조건적인 ‘퍼주기’는 ‘핵폭탄’이 되어 돌아왔다”고 비판했다. 그는 따라서 “핵 폐기를 전제로, 북한이 ‘정상국가’로 발전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북한 현대화 지원 계획’을 수립·시행해야 한다”고 밝혀, 이 후보와 박 후보의 정책 기조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못했다.

원희룡-고진화, 동북아 다자안보에 역점

기호 2번 원희룡 후보와 기호 5번 고진화 후보는 한 목소리로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해 동북아 다자안보를 역설했다.

원 후보는 “우리 외교의 큰 틀은 동북아 다자협력관계 속에 있습니다. 먼저, 한미동맹을 더욱 확고히 다져가겠다”며 “한미 간의 신뢰와 의사소통의 강화는 우리 외교의 가장 중요한 토대가 되어야 한다. 한일관계는 정치, 역사문제에 대한 원칙을 세우고 경제, 사회에서의 협력을 확대해 가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한중관계, 한러관계는 전략적 동반자로서, 경제협력의 파트너로서, 한반도 평화와 통일에 관한 신뢰를 구축해 가겠다”며 “나아가 세계 10위권 경제에 걸맞은 역할을 위해 기후변화, 에너지, 빈곤퇴치 등 인류적 과제 해결에 적극 참여하고 분쟁 재난지역에는 평화유지군도 적극 파견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그는 또 “OECD 개발원조위원회 평균수준인 0.3%에 도달할 때까지 해외원조규모를 확대하여 국제적 위상을 세워가겠다”며 “강한 국방 없이는 튼튼한 경제도, 당당한 나라도 없는 법”이라고 강조했다.

고 후보는 “남북연합을 넘어 한민족 대연합 통일구상으로 민족의 염원, 겨레의 소원인 통일을 이루겠다”며 “한민족 대연합 통일구상을 위해 경제.문화.생명의 가치를 실현하는 접경지역 개발전략인 EEC 프로젝트를 국가 전략기획청을 신설하여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인도적 교류와 물류.에너지의 수송체계 혁신을 통해 민족의 대동맥을 연결하겠다”며 “정상회담 정례화, 평화협정, 한반도 비핵화, 군비통제를 통한 ‘3+1 신뢰구축 조치’로 통일의 인프라를 만들겠다”고 주장했다. 그는 북핵 문제와 관련해서는 “6자회담을 확대 발전시킨 다자간 지역협의체, 경제, 문화, 에너지, 안보, 환경, 협치의 ‘6-Pac’ 전략으로 생명과 공동번영의 아시아 신외교구상을 실천하겠다”며 “지속가능한 에너지를 위한 ‘동북아 에너지 허브’ 경제공동체를 지향하는 ‘아시아 협력적 FTA-AMF’ 생명과 소프트파워의 ‘문화-환경의 한류’ 전략을 추진하겠다”고 주장했다.
김동현 기자

관련기사

댓글이 0 개 있습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