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성락 "美측에 통상-투자-구매-안보 패키지 제안"
"조속한 한미정상회담 개최 공감대, 구체적 일자는 아직"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9일 "미국측에 통상이나 투자, 구매 또 안보 관련 전반에 걸쳐 망라되어 있기 때문에 이런 패키지를 종합적으로 감안해서 앞으로 협의를 진전시키자고 제안했다"고 밝혔다.
미국 방문을 마치고 이날 저녁 귀국한 위 실장은 방미 결과 브리핑에서 "7일 백악관에서 루비오 국가안보보좌관 겸 국무장관과 한미안보실장협의를 갖고 한국이 마주한 현안과 고위급 교류를 비롯한 동맹관계 강화방안에 대해서 심도있는 협의를 가졌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마침 또 그 시점에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을 포함한 14개국에 대해서 상호관세 부과를 예고하는 서한을 공개했기 때문에 앞으로 통상 관련 협의를 어떻게 하는 게 좋을지 진지한 논의도 함께 했다"고 덧붙였다.
위 실장은 "저는 세 가지 사항을 주로 얘기했다"며 "첫째는 신정부 출범 이후에 한 달 남짓 짧은 기간에 저희 정부가 현안 협의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왔음을 설명했다"며 "양측이 현안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고 이걸 조정하더라도 동맹관계 발전과 신뢰 강화라는 큰 틀에서 타결을 위해 함께 노력하는 것이 좋겠다는 점을 강조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의 서한이 관세, 비관세 장벽을 중심으로 작성된 것으로 보인다"며 "미국측에 통상-투자-구매-안보 패키지 협의를 제안했고 루비오 보좌관도 공감을 표시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루비오 보좌관은 이번 서한은 7월 9일 시한을 앞두고 아직 무역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은 나라 모두에게 일률적으로 발송된 것이라고 설명하면서 8월 1일 전까지 협의를 위한 기회가 있는 만큼 그 기간 중에 합의를 이루기 위한 소통을 한미간에 긴밀해 해 나가자고 얘기했다"고 밝혔다.
그는 한미 정상회담 관련해선 "조속한 시일 내에 한미 정상회담을 하고 그럼으로써 제반 현안에서 상호 호혜적인 합의를 만들어나가는 과정을 촉진해보자고 했다"며 "이에 대해서도 루비오 보좌관이 공감을 표했다"고 전했다.
그러나 한미 정상회담 시기에 대해 "아직 구체적인 일자까지 나오지는 않았다"며 "협상은 협상대로 진행하고 (회담도) 성사될 수 있기 때문에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건 여러 채널 협의를 잘 마무리 지어서 정상회담에 간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방위비 대폭 증액 요구에 대해선 "지금 한미간에 방위비분담금특별협정(SMA)에 대한 논의는 많지 않다"며 "SMA말고 국방비 전체에 대해 구체적 흐름에 따라 조금 늘려가는 쪽으로 협의하고 있고, 우리 기여가 많은데 그 기여도 늘어날 수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그동안 한국에 대해 언급이 많지 않다가 최근에 행보가 이어지는데, 함부로 해석해 과도한 의미 부여를 하거나 작은 움직임에서 엄청난 결론을 도출하는 것도 조심해야 한다"며 "단지 한국이 관심 영역에 있구나 생각하게 되고 그런 부분을 잘 대처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미국 방문을 마치고 이날 저녁 귀국한 위 실장은 방미 결과 브리핑에서 "7일 백악관에서 루비오 국가안보보좌관 겸 국무장관과 한미안보실장협의를 갖고 한국이 마주한 현안과 고위급 교류를 비롯한 동맹관계 강화방안에 대해서 심도있는 협의를 가졌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마침 또 그 시점에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을 포함한 14개국에 대해서 상호관세 부과를 예고하는 서한을 공개했기 때문에 앞으로 통상 관련 협의를 어떻게 하는 게 좋을지 진지한 논의도 함께 했다"고 덧붙였다.
위 실장은 "저는 세 가지 사항을 주로 얘기했다"며 "첫째는 신정부 출범 이후에 한 달 남짓 짧은 기간에 저희 정부가 현안 협의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왔음을 설명했다"며 "양측이 현안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고 이걸 조정하더라도 동맹관계 발전과 신뢰 강화라는 큰 틀에서 타결을 위해 함께 노력하는 것이 좋겠다는 점을 강조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의 서한이 관세, 비관세 장벽을 중심으로 작성된 것으로 보인다"며 "미국측에 통상-투자-구매-안보 패키지 협의를 제안했고 루비오 보좌관도 공감을 표시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루비오 보좌관은 이번 서한은 7월 9일 시한을 앞두고 아직 무역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은 나라 모두에게 일률적으로 발송된 것이라고 설명하면서 8월 1일 전까지 협의를 위한 기회가 있는 만큼 그 기간 중에 합의를 이루기 위한 소통을 한미간에 긴밀해 해 나가자고 얘기했다"고 밝혔다.
그는 한미 정상회담 관련해선 "조속한 시일 내에 한미 정상회담을 하고 그럼으로써 제반 현안에서 상호 호혜적인 합의를 만들어나가는 과정을 촉진해보자고 했다"며 "이에 대해서도 루비오 보좌관이 공감을 표했다"고 전했다.
그러나 한미 정상회담 시기에 대해 "아직 구체적인 일자까지 나오지는 않았다"며 "협상은 협상대로 진행하고 (회담도) 성사될 수 있기 때문에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건 여러 채널 협의를 잘 마무리 지어서 정상회담에 간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방위비 대폭 증액 요구에 대해선 "지금 한미간에 방위비분담금특별협정(SMA)에 대한 논의는 많지 않다"며 "SMA말고 국방비 전체에 대해 구체적 흐름에 따라 조금 늘려가는 쪽으로 협의하고 있고, 우리 기여가 많은데 그 기여도 늘어날 수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그동안 한국에 대해 언급이 많지 않다가 최근에 행보가 이어지는데, 함부로 해석해 과도한 의미 부여를 하거나 작은 움직임에서 엄청난 결론을 도출하는 것도 조심해야 한다"며 "단지 한국이 관심 영역에 있구나 생각하게 되고 그런 부분을 잘 대처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