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소액결제 사태' 보름만에 사고 신고
광명시, 금천구, 영등포, 부천 등으로 소액결제 피해 급확산
지난달 26일 첫 피해가 발생한 점을 감안하면 보름 가까이 시간만 끌다가 전방위로 피해가 확산되자 뒤늦게 신고에 나선 것이서, 국가기간 통신사의 위상이 밑둥채 흔들리고 있는 양상이다.
과기정통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따르면, 이들은 KT로부터 지난 8일 19시16분에 침해사고 신고 접수를 받고 KT에 관련 자료 보전을 요구한(8일 19시 50분) 후 KT 우면동 사옥을 방문해 상황을 파악했다.
정보통신망법은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가 해킹 등 침해 사고가 발생한 것을 알게 된 때로부터 24시간 이내에 사고 발생 일시, 원인 및 피해 내용 등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이나 KISA에 신고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류제명 과기정통부 2차관은 “국민 피해 최소화를 위해 국내 최고 전문가 참여하는 조사단을 구성해 신속한 원인 파악 및 피해확산 방지를 위해 노력하는 한편, 수사를 진행하는 경찰과도 긴밀히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광명시와 금천구에서는 지난달 26일부터 KT 이용자들의 휴대전화 소액결제로 수십만원씩 빠져나가는 사건이 잇따라 발생, 8일까지 모두 74차례에 걸쳐 4천580만원이 결제된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영등포구에서도 소액결제 해킹 피해가 일어날 뻔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영등포경찰서는 지난달 6일 오후 2시께 휴대전화를 통한 상품권 결제로 49만5천원이 빠져나갔다는 KT 이용자의 신고를 접수했고, 피해자는 곧바로 결제를 취소해 돈을 모두 돌려받은 것으로 파악됐다.
부천 소사경찰서도 모바일 상품권 73만원 충전 등 총 411만원이 빠져나갔다는 KT 이용자 신고 5건을 받고 수사 중이다.
KT 새노조도 논평을 통해 "경찰이 수사에 착수했지만, 이번 사건은 단순한 범죄가 아니다"라며 "통신 3사 중 유독 KT에서, 그것도 특정 지역 가입자를 중심으로 피해가 집중적으로 발생했다는 사실은 KT 보안 체계의 심각한 취약성을 드러내고 있다"며 해킹 가능성에 방점을 찍었다.
그러면서 "KT는 반복되는 보안 사고와 인프라 관리 실패로 국민 피해를 방치해 왔다"며 "정부와 KT는 독립적인 전문가 조사를 통해 이번 사태의 원인을 철저히 규명하고, 피해자들에게 책임 있는 보상과 재발 방지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고 촉구했다.
더 나아가 김영섭 사장을 겨냥해 "이는 구조적인 무책임 경영의 필연적 결과이며, 더 이상 묵과할 수 없는 수준"이라며 "김영섭 사장은 국민 앞에 무너진 보안과 반복된 참사에 대한 책임을 지고 즉각 사퇴해야 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앞서 지난 4일 이재명 대통령은 "보안 사고를 반복하는 기업들에 대해 징벌적 과징금을 포함한 강력한 대처가 이뤄지도록 관련 조치를 신속히 준비하라"며 "혹여 숨겨진 추가 피해가 없는지 선제적 조사를 적극적으로 검토하라"고 지시한 바 있어, 조사 결과에 따라 KT에 강도높은 징계가 내려지는 게 아니냐는 관측을 낳고 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