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 개입'에 7월 외환보유고 105억달러 급감
사상 최대폭 급감, 외국인 순매도-경상적자 확대 등 악재 산적
한국은행이 지난달 환율 안정을 위해 외환시장에 개입한 결과, 외환보유고가 100억달러 이상 급감한 것으로 밝혀졌다.
한국은행은 7월말 현재 외환보유액이 2천475억2천만달러로 전월말에 비해 105억8천만달러 줄었다고 4일 밝혔다. 월중 감소폭으로는 역대최대 규모이다. 종전의 최대 감소치는 IMF사태가 발발한 1997년 11월의 61억달러였다.
외환보유액은 올해 4월 37억6천만달러 감소로 전환한 뒤 5월(-22억8천만달러)과 6월(-1억달러) 등 넉달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한은과 기획재정부는 지난달 7일 기자간담회를 열어 외환시장 개입을 선언한 뒤, 8일과 9일 집중적 개입을 통해 당시 1050원선까지 급등했던 환율을 1000선으로 묶었다.
한은은 일단 시장개입을 통해 지난달초의 환율 급등 기대심리를 잡는 데 성공했다고 자평하고 있으나, 외국인의 지속적 주식-채권 순매도 공세와 경상수지 적자 확대 등으로 환율 상승 요인은 상존하고 있어 향후 한은의 환율 대응 방향이 주목된다. 한은은 시장의 수요공급에 따른 환율 상승은 수용하나, 쏠림 현상에 따른 투기적 환율 상승은 차단한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한국은행은 7월말 현재 외환보유액이 2천475억2천만달러로 전월말에 비해 105억8천만달러 줄었다고 4일 밝혔다. 월중 감소폭으로는 역대최대 규모이다. 종전의 최대 감소치는 IMF사태가 발발한 1997년 11월의 61억달러였다.
외환보유액은 올해 4월 37억6천만달러 감소로 전환한 뒤 5월(-22억8천만달러)과 6월(-1억달러) 등 넉달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한은과 기획재정부는 지난달 7일 기자간담회를 열어 외환시장 개입을 선언한 뒤, 8일과 9일 집중적 개입을 통해 당시 1050원선까지 급등했던 환율을 1000선으로 묶었다.
한은은 일단 시장개입을 통해 지난달초의 환율 급등 기대심리를 잡는 데 성공했다고 자평하고 있으나, 외국인의 지속적 주식-채권 순매도 공세와 경상수지 적자 확대 등으로 환율 상승 요인은 상존하고 있어 향후 한은의 환율 대응 방향이 주목된다. 한은은 시장의 수요공급에 따른 환율 상승은 수용하나, 쏠림 현상에 따른 투기적 환율 상승은 차단한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