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S&P "한국, 단기외채 주의해야"

"시장에 토대 둔 금리-환율 정책 펴야"

국제적 신용평가기관인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는 한국의 국가신용등급과 관련해 최근 증가 추세에 있는 단기외채에 대해 세밀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현 정부의 환율 정책이 이전 정부에 비해 시장개입적 성격이 강하지만 그 효과에 대해서는 의문스럽다고 밝혔다.

다카히라 오가와 S&P 국가신용평가 담당이사는 4일 연합뉴스와의 서면인터뷰에서 "한국의 국가신용등급 조정과 관련해 북한 문제가 여전히 가장 부정적인 지정학적 요인이지만 늘어나는 단기외채와 금융시장의 불안정성에 대해서도 세밀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오가와 이사는 "인플레이션, 무역수지 및 경상수지의 악화, 주식시장의 자본 유출 등은 한국에만 국한된 문제는 아니다"면서 "다만 고유가 및 고물가, 세계경제 둔화의 영향 등이 순 대외포지션의 악화와 결합돼 나타나는 것이 현재 한국 경제가 안고있는 어려움"이라고 지적했다.

오가와 이사는 이와 관련해 "한국은 올해 하반기 순 채무국으로 전환될 것이 확실시된다"고 전망했다.

3월 말 현재 한국의 대외채권은 4천274억달러, 채무는 4천125억달러로 순채권 규모는 2000년 9월 이후 가장 적은 149억달러에 불과한 상태다.

현 정부의 환율정책과 관련해 그는 "이전 정부에 비해 현 정부는 좀 더 시장개입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평가한 뒤 "그러나 이러한 현 정부의 환율정책이 달러화에 대한 원화의 가치를 조정하는 데 성공할 것이라고 보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물가 안정과 관련해 그는 "장기적으로는 시장에 토대를 둔 금리정책을 펴는 것이 시장에 직접 개입하는 것보다 효과적일 것"이라고 조언했다.

S&P는 지난 2005년 7월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을 'A-'에서 'A'로 상향조정했으며, 지난해 10월 대외변수에 의한 금융시장 리스크를 언급하면서 신용등급 유지를 결정했다.
연합뉴스

관련기사

댓글이 1 개 있습니다.

  • 15 33
    111

    대한민국의 신용등급은
    북한과의 관계개선으로 인한 신용등급 상향
    비중이 높다는것을 다시 확인... S&P .......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