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금리동결' 한은, 올 성장률 5.2%로 대폭 상향

금리동결로 '인플레 부메랑' '자금 부동화' 초래

한국은행이 올해 우리 경제 성장률 전망을 5.2%로 종전보다 0.6%포인트 대폭상향했다. 이처럼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5% 이상으로 대폭 높인 한은이 기준금리는 사상 최저인 2%로 계속 묶어두고 있어, 향후 '인플레 부메랑'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한은은 12일 발표한 `2010년 경제전망 수정'에서 작년 동기 대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상반기 6.6%, 하반기 4.0%를 기록하면서 연평균 5.2%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지난해 연말에 했던 전망치 4.6%보다 크게 높은 것이자, 기획재정부의 전망치인 5% 내외보다도 높은 수준이다.

한은은 특히 1분기에는 7.5%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한 뒤 2분기 5.8%, 하반기 4.0%로 증가폭이 둔화될 것으로 관측했다.

한은은 내년에도 4.8% 고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예측했다.

구체적으로 상품 수출은 세계경제 회복으로 견조한 증가세를 지속하면서 올해 11.9% 성장하고, 설비투자는 IT경기 회복과 기업의 투자여력 증대로 작년 9.1% 감소에서 올해 13.4%로 돌아설 것으로 전망했다. 민간소비는 가계소득 증가와 소비심리 호전 등에 힘입어 4.0% 늘어날 것으로 예측했다. 다만 건설투자는 주거용 건물건설의 부진으로 증가세가 작년의 4.4%에서 2.0%로 둔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올해 취업자 수는 경기 회복과 정부의 일자리 창출 등으로 고용사정이 개선되면서 24만명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실업률은 구직활동 증가 등으로 비경제활동 인구가 경제활동 인구로 전환되면서 3.7%로 전년보다 0.1%포인트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연평균 2.6% 내외로 전망했다.

경상수지 흑자규모는 그러나 수입이 수출보다 빠르게 증가하고 해외여행이 급증하면서 전년의 427억달러에서 105억달러로 축소될 것으로 내다봤다.

문제는 한은이 이처럼 올해 성장률을 당초 예상치보다 크게 높은 5.2%로 높여 잡으면서도 사상 최저인 2% 기준금리는 계속 묶어두려 하고 있다는 점이다. 시장에서는 김중수 한은총재의 성격상 오는 11월 G20 정상회담 전까지는 기준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같은 초저금리는 향후 '인플레 부메랑'으로 경제의 건전성을 훼손하는 동시에, 벌써부터 은행에서의 예금이탈 및 자금 부동화 현상 등 각종 부작용을 낳고 있다.
박태견 기자

댓글이 10 개 있습니다.

  • 0 0
    111

    GDP 1천100조원.1조달러 시대 맞는다"라는 기사를 보고 .
    면...1996년 아파트를 10채 생산했는데 가격이 100만원이었다.
    그 런데 2010년에도 아파트를 10채 생산했는데 가격이 1000만원이었다.
    생산물량은 같은데 가격이 10배 상승과 같다
    니 GDP도 10배 상승한 것이 됩니다...
    GDP는 허구다 물가도 10배 상승한것이랍니다

  • 0 0
    111

    1억 = 지폐 = 자본입니다
    가치가 사라진 동네에서는 오직 가격만 남는다
    가격 = 투기 만 횡행한다 .......거품이 풍성해지는것이 된다

  • 3 0
    111

    일을 해도 해도 빚만 느는 현실이 암울하군요.
    희망이 없지만 통일하고 쥐색히들 모가지 댕강하는 것까진
    무 조건 봐야겠습니다ㅋㅋㅋㅋㅋㅋㅋㅋ

  • 5 0
    747부대

    은행빚가지고 계신분들 심중하세요 지금경제성장 5.2하지만 서민들이 피부로 느끼러면 2-3년가지는 안됩니다 지금 금리동결하지만 선거끝나면 모든물가와 함께 금리도오름니다 앞으로 죽을 일만 남았습니다 747은 꿈이고

  • 3 0
    asdf

    영혼없는 인간들이 뭔들 제대로 하겠나?미국 눈치만 보고 있다가 미국이 금리 인상하면 그때 따라 할 것이다.

  • 9 0
    보여주기식 땅박

    사르코지 프랑스 대통령이 그랬지
    GDP성장률은 선진국의 척도가 더이상 아니라고
    행복지수와 환경지수, 유니버설 복지 등을 포함한 ‘보편적’보편주의가
    선진국 척도를 가늠하는 잣대가 되었다고 했지.

    뭐하나 소수 재력가에게만 유리할 뿐 중산서민층과는 동떨어진 척도는
    명박이만의 잣대만 될 뿐

  • 3 0
    ㅉㅉㅉ

    왜 7퍼센트라고 하지,, 개식히들아,,
    경제성장률 이 중요한게 아니라, 실물경제 의 안정성이 중요하고, 개인들의 소득보장과 가계수요의 균형이 중요할 때인데. 퍼센테이지 로 아무리 레버리지를 노려봐라,, 실물이 안따라 오는데,, 결국 망하지,,

  • 5 0
    조작 정부

    김 0삼 ,,,
    한국은 외화도 충분하니 정부를 믿어달라 "
    조작 선동질의 대표적 사례

  • 4 0
    111

    한은의 "경제성장률 5.2%이상 상승"은 물가의 5..2%상승을 의미하게 되며
    이것은 다시 실질임금의 5..2%하락과 같다고 생각하면 된다.
    경제성장률은 사기다

  • 14 0
    까칠한사람

    전체적으로 큰 인플레이션이 확실한데 자산은 매우 큰 디플레이션이고 생필품 등과 공공요금이 크게 오르고 등록금, 학원비 등 학생들에게 들어 가는 비용도 많이 올를 겁니다...게다가 석유류 등 공산품도 껑충.....이로써 국민들 가슴에 큰 멍울을 드리울 게연성이 확실해졌군요...물론 목숨은 부지하게 해 주겠죠...계속 피빨아 처 드실려면...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