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증현 장관은 물가가 폭등하던 지난 1월까지만 해도 정부 목표인 '5% 성장, 3% 물가' 달성을 호언했다. 그러던 것이 2월 들어 조심씩 고개를 숙이기 시작했다. 그는 2월23일 경제정책조정회의에서 "상황이 상당히 좋지 않다"며 "물가를 둘러싼 국내외 환경이 대단히 비우호적"이라고 한발 물러섰다.
그는 그러면서도 "지금 겪고 있는 물가 문제는 변명이 아니라, 우리나라 뿐만 아니고 지구촌 모든 국가가 겪는 어려움"이라고 글로벌 환경 탓을 했다.(2월28일 국회 답변)
그러던 그가 3월9일에는 은행회관에서 열린 국가경영전략연구원 수요정책포럼 강연에서 "물가상승은 공급부문 충격에 주로 기인하지만 최근에는 인플레 기대심리와 경기회복에 따른 수요측면 물가압력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며 "물가불안으로 전반적인 불확실성이 높아 우리 경제의 회복 흐름이 계속될 수 있을지 낙관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물가 폭등에 따른 디플레(고물가 저성장) 위험성까지 시사하기에 이르른 셈.
그는 극도의 피로감도 드러냈다. 그는 앞서 7일 국회 기획재정위 전체회의에서는 "물가가 심각한 수준인데 주무 장관으로서 책임져야 하는 것 아니냐"는 민주당 전병헌 의원의 질타에 "짐을 내려놓고 싶다"고 답했다. 지금 당장이라도 물러나고 싶다는 얘기다.
실제로 윤 장관은 지난해 말에도 이명박 대통령에게 사의를 표명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은 것으로 전해진다. 마땅한 후임자가 없다는 이유에서다. 하지만 그보다는 이 대통령의 '인사청문회 컴플렉스'가 더 큰 요인이 아니었겠냐는 해석을 낳았다.
하지만 경제수장이 경제운영의 자신감을 상실했다면 바꿔야 한다는 여론이 지배적이다. 특히 지금은 기존의 '저금리 고환율' 정책을 바꿔야 한다는 여론이 안팎으로 비등한 시점이다. 새 술을 새 부대에 담기 위해서라도 경제팀 교체는 필요하다는 게 중론이다.
문제는 경제수장 교체가 또다시 회전문 인사가 돼선 안된다는 것이다. 윤 장관은 경제수장이면서도 강만수 대통령 경제특보의 무거운 그늘에 짓눌려 지내온 것으로 알려진다. 강만수 특보는 대표적 '저금리 고환율' 성장론자다. 강 특보 최측근인 최중경 지경부장관도 마찬가지다. 이들은 지금 이 순간까지 기존 경제정책의 고수를 주장하고 있다.
지금 필요한 것은 단순한 '사람 물갈이'가 아니라 '정책 물갈이'다. 그런 면에서 윤 장관은 말할 것도 없고 MB정권의 성장론자들도 함께 물갈이해야만 당면한 위기를 정면돌파하는 첩경이 되리라는 게 지배적 주문이어서, 유정복 농림부장관 등이 교체대상으로 거론되는 '3월 개각'때 과연 이 대통령이 어떤 결단을 내릴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다 말아 먹고 튀겠다는 심산과 다름 아니다 이제 막상 경제에 위기가 닥치니 해결할 능력도 없고 방법도 없는데 연일 나라는 구렁텅이로 가라 앉는 형세에 몸이라도 보존하자는 생각인가 보구나 물러나도 외국 나가지 말고 집에 앉아 있어라 조만간 청문회도 해야하고 검찰 법원에도 출두해야하닌까 이제까지 자다가 봉창 두들기는 소릴 하고 있네
이자는 간교한자다. 이대로 가면 자신이 수렁에 빠질것을 알고 털고 일어나는것이지. 한국경제가 그동안 떠벌인대로 잘 나갈것 같으면 떨어지는 떡고물이 탐나서라도 절대 물러설 바퀴벌레가 아니다. 알바, 가스통 잘 생각해라 도둑같이 맞은 광복때 너희가 얼마나 김구에 떨었는가 말이다
애초부터 도덕성은 포기하고 경제만 살리면 된다는 거짓정권에게 원죄적 책임이 있다 뽑은것도 찍은 몇놈 어리석은 국민탓이지만 이 국가부도덕에 국가정화는 결국 국민 총단결이 답이 아닐까 찍었든 안찍었든 이 사악하고 거짓만 일삼는 저주스런 정권몰락이 그 답이겟지 419 선조들의 지혜를 얻어 우리 거리로 나가 저열하고 비열한 하이에나 정권 뭉개트리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