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한국, 5년후부터는 2%대 저성장"
저출산-고령화로 한국의 장기성장률 급락
29일 OECD가 최근 발간한 '경제전망(Economic Outlook)'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6.2%는 34개 회원국 가운데 터키(8.9%)에 이어 2위를 기록했나 한국의 장기(2016~2026년) 성장률 전망치는 2.4%로 크게 낮아지면서 순위도 9위로 밀려났다.
장기 성장률 전망치는 아일랜드(3.5%)가 가장 높았고 이스라엘(3.4%), 칠레(3.0%), 멕시코(3.0%), 호주(2.9%), 노르웨이(2.7%), 스페인(2.7%), 포르투갈(2.5%) 등이 뒤를 이었다.
아울러 한국의 잠재성장률도 2010~2015년에는 3.8%로 칠레(4.1%)와 이스라엘(4.1%)에 이어 3위를 기록하겠지만 2016~2026년에는 2.4%로 떨어지면서 순위는 7위로 밀려날 것으로 예상됐다.
장기 잠재성장률은 이스라엘이 3.4%로 가장 높았고 아일랜드(3.3%), 멕시코(3.0%), 칠레(3.0%), 호주(2.8%), 노르웨이(2.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앞서 한국개발연구원(KDI)도 2010년대에 접어들면 한국의 잠재성장률이 4.3% 전후로 낮아질 것으로 전망한 바 있다.
한국의 잠재성장률이 급락하는 이유는 저출산ㆍ고령화로 OECD는 한국의 잠재노동생산성 증가율이 2010~2015년에는 2.8%로 슬로바키아(3.5%), 에스토니아(3.0%)에 이어 3위로 전망했으나 2016~2026년에는 6위(2.2%)로 낮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