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10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농축산물 하락으로 3.9%

10개월만에 3%대로 하락

10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9%를 기록해 지난해 12월(3.5%) 이후 처음으로 3%대로 떨어졌다.

1일 통계청에 따르면 10월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3.9% 상승했으며 전월에 비해서는 0.2% 하락했다.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월대비로 지난 1월 4.1% 상승한 이후, 2월 4.5%, 3월 4.7%, 4월 4.2%, 5월 4.1%, 6월 4.4%, 7월 4.7%, 8월 5.3%, 9월 4.3% 등으로 9개월째 4%대의 상승률을 기록했으나 10개월 만에 3%대로 낮아졌다.

또 소비자물가가 전월대비로 감소세를 기록한 것은 지난해 11월(-0.6%) 이후 11개월 만이다.

농산물과 석유류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3.7% 올랐으나 전월에 비해서는 0.2% 하락했다.

식료품 등 생활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3.2% 올랐으나 전달보다는 0.2% 하락했다.

생선ㆍ채소류ㆍ과실류 등 구성된 신선식품지수는 작년 10월보다 14.0% 떨어졌고 전월 대비로도 6.6% 내렸다.

농축수산물 가운데 농산물은 지난해 같은 달보다 5.3% 떨어졌으나 축산물과 수산물은 각각 2.0%, 8.5% 올라 전체적으로 1.7% 하락했다. 농축수산물은 전달보다는 3.6% 떨어졌다.

주요 품목을 살펴보면 고춧가루가 101.0%로 상승폭이 가장 컸으며, 콩(41.4%), 쌀(17.7%), 돼지고기(12.0%), 갈치(17.5%) 등이 올랐고 배추(-65.4%), 파(-62.3%), 무(-62.5%), 국산쇠고기(-12.4%), 마늘(-18.3%) 등이 내렸다.

공업제품은 금반지가 29.1%, 휘발유 16.3%, 등유 24.3%, 경유 17.8%가 올라 전체적으로 전년동월 대비 7.6% 올랐다.

서비스부문은 지난해 같은 달보다 3.0% 오른 가운데 집세 4.9%, 개인서비스 3.2%, 공공서비스 1.1%의 상승률을 보였다.

공공서비스 중에서 도시가스(9.7%), 시내버스료(5.6%), 치과진료비(4.7%) 등이 오르고 이동전화통화료(-4.0%) 등은 내렸다. 개인서비스 가운데에는 외식삼겹살(15.9%), 외식돼지갈비(14.1%), 미용료(6.7%) 등은 오르고 이동전화 데이터통화료(-5.1%) 등은 떨어졌다.
연합뉴스

댓글이 3 개 있습니다.

  • 3 0
    정권바꾸자

    쌀과 김치없어서 죽은 작가...
    주식아니면 안사먹고 만다.
    입에 달고 살던 과일이며 간식거리, 이제 눈뜨고 찾아봐도 누룽지말고는 없네.
    고구마, 감자도 이젠 안사먹는다. 밥 한술 더 뜨고 말지.
    이게 진정한 서민의 물가체감이다.
    그렇다고 쌀값오르면 묽은쌀, 비축쌀 재놓고 먹는다. 정권바꾸자.

  • 2 0
    ㅉㅉ

    모든게 다 더 올랐는데...무슨 물가수준이 3.9%란 말이고....사기도 이런 사기군들이 없다......몇배씩 오른 물가다 이런 버러지 같은 공직자들아.....

  • 5 0
    농민이 호구지?

    농민들이 호구 고 봉이지???????
    지금 농민들이 잘 사니?
    물가 오르면 무조건 농산물만 수입해서 폭락시키네.
    흉작이라서 비싸지고 농민수가 감소해서 오르는건데
    흉작인데 가격내리면 농가 수입은?
    이제껏 저곡가 정책으로 농민 다 죽여놓고
    아직도 도시민 위주로 정책을 하네.
    죽지도 살지도 못하는 가격에 쌀 수매로 도시민만
    괜찬으면 농민은 죽어도 되는 정부.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