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선미 의원실 해킹 의혹', 직원 오인 때문
경찰 "조사해보니 해킹 없었다"
민주통합당 진선미 의원이 지난달 제기한 '의원실 이메일 해킹 의혹'은 의원실 직원의 오인으로 확인됐다.
서울 영등포경찰서는 진 의원실 비서 김모씨의 이메일 계정 해킹 의혹에 대해 "김씨가 페이스북을 이용하면서 본인 이메일 계정에 스스로 접속했다가 발생한 일로 해킹은 없었다"고 25일 밝혔다.
경찰에 따르면 김씨는 지난달 20일 페이스북에 로그인해 '친구 찾기' 기능을 쓰려고 자신의 네이버 이메일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했다가 네이버로부터 싱가포르에서의 접속이 인지됐다는 경고 문구를 받았다.
김씨는 이를 보고 제삼자가 싱가포르 서버를 거쳐 자신의 이메일을 해킹한 것으로 여겼으나 사실은 페이스북의 접속 시스템에 따라 김씨 본인이 싱가포르 서버를 이용해 이메일에 접속한 것이었다고 경찰은 전했다.
페이스북은 사용자가 계정에 접속할 때 접속이 가장 원활한 인근 국가의 서버를 이용하도록 하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지난주 이러한 수사 결과를 확인해 진 의원실에 우편으로 통보했다"며 "추가 조사 계획은 없다"고 밝혔다.
앞서 진 의원은 지난달 27일 국회 안전행정위원회의 이성한 경찰청장 내정자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신상발언을 통해 "의원실 이메일이 해킹당했다"며 "용의자는 휴대전화로 계정에 접속했고 접속 IP는 싱가포르지만 국내에서 우회 접속했을 가능성도 있다"고 주장했다.
서울 영등포경찰서는 진 의원실 비서 김모씨의 이메일 계정 해킹 의혹에 대해 "김씨가 페이스북을 이용하면서 본인 이메일 계정에 스스로 접속했다가 발생한 일로 해킹은 없었다"고 25일 밝혔다.
경찰에 따르면 김씨는 지난달 20일 페이스북에 로그인해 '친구 찾기' 기능을 쓰려고 자신의 네이버 이메일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했다가 네이버로부터 싱가포르에서의 접속이 인지됐다는 경고 문구를 받았다.
김씨는 이를 보고 제삼자가 싱가포르 서버를 거쳐 자신의 이메일을 해킹한 것으로 여겼으나 사실은 페이스북의 접속 시스템에 따라 김씨 본인이 싱가포르 서버를 이용해 이메일에 접속한 것이었다고 경찰은 전했다.
페이스북은 사용자가 계정에 접속할 때 접속이 가장 원활한 인근 국가의 서버를 이용하도록 하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지난주 이러한 수사 결과를 확인해 진 의원실에 우편으로 통보했다"며 "추가 조사 계획은 없다"고 밝혔다.
앞서 진 의원은 지난달 27일 국회 안전행정위원회의 이성한 경찰청장 내정자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신상발언을 통해 "의원실 이메일이 해킹당했다"며 "용의자는 휴대전화로 계정에 접속했고 접속 IP는 싱가포르지만 국내에서 우회 접속했을 가능성도 있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