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종석 “열린당 실패 盧 폐쇄적 국정운영 때문”
"그러나 반노가 통합신당 전제일 수는 없어"
열린우리당 임종석 의원은 18일 정부와 열린우리당의 실패는 노무현 대통령의 페쇄적 국정운영 스타일과 민심과 민생에 천착하지 못한 정부와 열린우리당의 혼란 때문이었다고 주장하면서 신당은 친노세력과 함께 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배제와 헤게모니 다툼 아닌 통합과 새 리더십 창출해야”
임 의원은 이날 당 홈페이지에 올린 ‘통합신당은 어떻게 가능한가?’라는 제목의 글을 통해 “평화개혁세력은 지금 헌정사상 최대의 위기를 맞고 있다”며 “대통령 탄핵사태를 막아내며 총선 과반수 획득이라는 큰 승리를 거두기도 했으나 과반수 승리가 과도한 기대를 불렀고 근거 없는 자만을 낳았고, 특히 노무현 대통령의 페쇄적 국정운영 스타일과 민심과 민생에 천착하지 못한 정부와 열린우리당의 혼란이 실패를 불러왔다”고 자성했다.
그는 “이로 인해 지지기반은 흩어져 부동층이 됐고 부동층은 오래지 않아 반대층으로 전환됐고, 정치의 근본인 민심과 민생에 천착하지 못한 정부와 열린우리당의 혼란과 실패는 수권능력 상실, 평화개혁세력의 위기로 가속화됐다”며 “평화개력세력에 대한 불신으로 국민들은 ‘평화’와 ‘개혁’이라는 가치가 먹고 사는 문제와 분리돼 있다는 생각을 갖게 됐고 결국엔 평화개혁 세력 자체가 가진 가치마저 위협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통합신당 추진에 대해 “보수기득권 세력을 대변하는 한나라당의 집권을 막기 위한 대통합, 평화개혁세력의 대통합을 부정하고 역지역주의에 빠져들고 있는 반(反) 통합론의 극복, 통합신당 진영 내부의 노선 차이에서 나오는 보수적 시도를 약화시키고 중도개혁의 주도권을 확립하는 세 개의 전선에서 통합신당을 제대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원칙을 세우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한나라당이라는 분명한 경쟁상대를 앞에 두고 모든 중도적 평화개혁세력의 대단결, 대통합을 이뤄야 한다”고 역설했다.
그는 “작은 차이를 강조하면 통합은 불가능하다. 분열된 평화개혁세력, 중도세력은 최단 시일 내에 조건 없이 통합해야만 한다. 그것만이 수구기득권세력의 집권을 반대하는 국민의 여망에 부응하는 길”이라며 “통합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평화개혁세력의 생존을 위한 유일한 길”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참여정부의 실정을 비판하고 반성을 할 수는 있으나 반노가 통합신당의 전제일 수는 없다. 통합신당이 가야할 길은 통합과 새로운 리더십의 창출이지, 배제와 헤게모니 다툼이 아니다”라며 친노세력과 함께 갈 것을 주장했다.
그는 통합신당 추진을 위해 “기성정당끼리 합당하고 외부세력을 수혈하는 방식이 아니라 통합의 대의에 동의하는 모든 평화개혁세력이 합의하고 참여하는 새로운 중도개혁정당의 창당이 되도록 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반드시 통합해야 할 제 세력이 시급히 라운드테이블에서 머리를 맞대는 ‘2007년 평화개혁라운드(가칭)’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배제와 헤게모니 다툼 아닌 통합과 새 리더십 창출해야”
임 의원은 이날 당 홈페이지에 올린 ‘통합신당은 어떻게 가능한가?’라는 제목의 글을 통해 “평화개혁세력은 지금 헌정사상 최대의 위기를 맞고 있다”며 “대통령 탄핵사태를 막아내며 총선 과반수 획득이라는 큰 승리를 거두기도 했으나 과반수 승리가 과도한 기대를 불렀고 근거 없는 자만을 낳았고, 특히 노무현 대통령의 페쇄적 국정운영 스타일과 민심과 민생에 천착하지 못한 정부와 열린우리당의 혼란이 실패를 불러왔다”고 자성했다.
그는 “이로 인해 지지기반은 흩어져 부동층이 됐고 부동층은 오래지 않아 반대층으로 전환됐고, 정치의 근본인 민심과 민생에 천착하지 못한 정부와 열린우리당의 혼란과 실패는 수권능력 상실, 평화개혁세력의 위기로 가속화됐다”며 “평화개력세력에 대한 불신으로 국민들은 ‘평화’와 ‘개혁’이라는 가치가 먹고 사는 문제와 분리돼 있다는 생각을 갖게 됐고 결국엔 평화개혁 세력 자체가 가진 가치마저 위협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통합신당 추진에 대해 “보수기득권 세력을 대변하는 한나라당의 집권을 막기 위한 대통합, 평화개혁세력의 대통합을 부정하고 역지역주의에 빠져들고 있는 반(反) 통합론의 극복, 통합신당 진영 내부의 노선 차이에서 나오는 보수적 시도를 약화시키고 중도개혁의 주도권을 확립하는 세 개의 전선에서 통합신당을 제대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원칙을 세우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한나라당이라는 분명한 경쟁상대를 앞에 두고 모든 중도적 평화개혁세력의 대단결, 대통합을 이뤄야 한다”고 역설했다.
그는 “작은 차이를 강조하면 통합은 불가능하다. 분열된 평화개혁세력, 중도세력은 최단 시일 내에 조건 없이 통합해야만 한다. 그것만이 수구기득권세력의 집권을 반대하는 국민의 여망에 부응하는 길”이라며 “통합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평화개혁세력의 생존을 위한 유일한 길”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참여정부의 실정을 비판하고 반성을 할 수는 있으나 반노가 통합신당의 전제일 수는 없다. 통합신당이 가야할 길은 통합과 새로운 리더십의 창출이지, 배제와 헤게모니 다툼이 아니다”라며 친노세력과 함께 갈 것을 주장했다.
그는 통합신당 추진을 위해 “기성정당끼리 합당하고 외부세력을 수혈하는 방식이 아니라 통합의 대의에 동의하는 모든 평화개혁세력이 합의하고 참여하는 새로운 중도개혁정당의 창당이 되도록 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반드시 통합해야 할 제 세력이 시급히 라운드테이블에서 머리를 맞대는 ‘2007년 평화개혁라운드(가칭)’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