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운찬 전 서울대총장으로 한나라당을 잠재적으로 위협해온 '범여권 대항마'가 사라지면서 이명박-박근혜 갈등이 증폭되면서 한나라당이 해체될 것이라는 한나라당내 전망이 나와 주목된다.
권영세 "범여권은 물론 한나라당도 해체될 것"
권영세 한나라당 최고위원은 30일 정 전총장 불출마 선언 뒤 본지와 인터뷰에서 “정 전 총장의 불출마 선언은 그동안 범여권이 기대해온 인물이 사라진 것”이라며 “인물 중심의 결집을 꽤한 범여권은 해체의 길로 걷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이어 “이는 단순히 여권만의 문제가 아니라 정치권 전체의 해체로 가는 계기가 될 수도 있을 것”이라며 “한나라당도 예외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그동안 범여권에서 나올 정 전 총장에 맞서 싸워야 하는 명분이 한나라당에 있었는데 그 명분이 사라진 마당이라 그 가능성(한나라당 해체)은 더 높아졌다”며 “이명박-박근혜 양 주자의 분당 가능성도 높아졌다”고 분석했다.
정운찬 불출마로 잠재적 위협이 사라지면서 한나라당 분당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분석이 나와 주목된다. ⓒ연합뉴스
홍준표 “정운찬 불출마, 한나라당에 영향없다”
그러나 정 전총장 불출마가 별다른 영향을 안 미칠 것이라는 분석도 만만치 않다.
홍준표 의원은 이 날 본지와 통화에서 정 전총장 불출마에 대해 “학자가 정치판에서 아마 견디기 어려웠을 것”이라며 “정 전 총장의 꿈과 이상은 좋았으나 현실적 한계를 봤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홍 의원은 “정 전 총장의 포기가 한나라당의 분당으로 연결되기는 힘들 것”이라며 “학자의 자리로 돌아가는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다”라고 분당 가능성을 일축했다.
김정훈 의원은 “정 전 총장의 포기로 범여권은 카오스 상황”이라면서도 “범여권 관계자들을 만나보면 ‘한 달 이면 후보는 만들 수 있다’는 말을 공공연히 한다. 정 전 총장이 비록 범여권의 유력 대권주자이긴 했으나 범여권이 새로운 인물 모색에 나설 수도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한나라당에 미칠 영향에 대해선 “한나라당에 직접적인 영향력으로 연결되지는 않을 것”이라며 “이명박-박근혜 두 분 모두, ‘먼저 나가는 사람이 정 맞는다’는 사실을 누구보다도 잘 알기 때문에 그렇게 쉽게 (정운찬 불출마에 따른) 유혹에 흔들리지는 못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주호 의원 역시 “아직까지 한나라당 프리미엄이 크다는 사실을 누구보다 잘 아는 사람이 두 대권주자”라며 결별 가능성에 부정적 견해를 밝혔다.
“충분히 가능한 시나리오”, "이명박 대응 주목해야"
아직까지 정 전총장 불출마가 곧바로 한나라당 분당으로 이어질 것으로 내다보는 시각은 소수파다. 그러나 정운찬 불출마로 이명박-박근혜 갈등이 더욱 증폭되면서 최악의 사태로 갈 가능성은 더욱 높아졌다는 게 지배적 관측이다.
익명을 요구한 당 핵심관계자는 “두 주자 중 과연 누가 당을 깨고 나갈만큼 배짱이 있겠냐. 먼저 나가는 사람이 죽는 길인데...”라면서도 그는 "정운찬 불출마가 한나라당의 또 하나의 잠재적 악재로 잠복할 가능성은 있다. 특히 히 최근 한나라당의 사태를 봤을 때 분란의 소지가 너무 많다"고 우려했다.
그는 "만약 5월에 다시 이명박-박근혜 두 대권주자가 치열하게 부딪힐 경우, 8월 경선도 그 뒤로 미루자는 주장이 힘을 받을 가능성도 크다"며 "분란이 지속되면 당 해체도 현실화될 지 모른다"고 말했다.
또다른 관계자는 "정운찬 불출마는 특히 그동안 전 전총장을 강하게 의식해온 이명박 전시장에게 당선에 대한 강한 자신감을 심어줄 가능성이 높다"며 "당을 쪼개고 나간다면 박 전대표가 아닌 이 전시장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정 전총장의 불출마로 범여권이 꿈꿔온 호남과 충청이 연대하는 서부벨트 구상은 치명타를 맞게 됐다"며 "대안으로 충청 출신인 이해찬 전총리 등이 떠오르겠으나 이 전총리가 한나라당 대항마가 되기엔 너무 역부족인만큼 그만큼 한나라당 대선주자들의 분열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