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이명박 처남 '땅 재벌', 10년간 67만평 매집

전국 47곳 매입, 매입후 각종 개발계획 발표돼 땅값 급등

박근혜측으로부터 재산목록 공개를 압박받고 있는 이명박 후보 처남 김재정 씨(58)가 1982~1991년 약 10여년동안 전국에 걸쳐 47곳의 부동산 67만여평을 사들인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김 씨가 사들인 대부분의 토지는 대부분 간척공사, 신항만 공사 등 대형 개발계획과 맞물린 땅으로 매입 직후 큰 폭으로 올라 사전 개발정보 취득 의혹을 사고 있다.

김재정 땅매입후 각종 개발 소식 발표되며 땅값 폭등

2일 <경향신문>에 따르면 김씨는 82년 충북 옥천군 이원면 강청리 임야를 시작으로 충남 당진군 송산면 유곡리(87년), 경기 화성시 우정면 주곡리(87년), 경기 가평군 설악면 선촌리와 경북 군위군 산성면 화전리, 대전 유성구 용계동(88년), 강원 고성군 토성면 용촌리(90년)의 임야와 잡종지를 집중적으로 사들였다. 김씨가 이렇게 10년 동안 사들인 부동산은 모두 224만㎡(67만여평)에 이른다.

눈길을 끄는 대목은 김 씨가 이렇게 사들인 부동산 중 상당수가 매입 직후 개발계획이 발표되면서 지가가 급등했다는 사실.

<경향신문>에 따르면 김 씨가 87년 8월에 매입한 충남 당진군 송산면 유곡리 임야(1만2396㎡, 3천7백56평)는 80년대 아산신항 건설 발표로 지가가 급등했던 지역이다. 이 지역 인근에서는 대규모 방조제 및 간척지 공사가 활발하게 벌어졌고 90년에 들어와서는 한보철강이 이곳으로 들어오면서 땅값이 폭등했다. 매입 당시 평당 7천원대에 불과했던 이 땅은 2005년 매각 당시 평당 30만원으로 뛰어올랐다.

김 씨가 87년에 사들인 경기 화성시 우정면 주곡리 잡종지(3306㎡, 1천1평)는 서해안 개발의 핵심역할을 맡게 될 시화지구 개발사업과 맞물려 있다. 방조제 공사는 현대건설이 맡았다.

김 씨가 90년 5월 매입한 강원 고성군 토성면의 산, 대지, 잡종지 등 3필지는 다음해 91년 열린 제17회 세계잼버리 국제대회 개최지 인근이다. 신문에 따르면 국세청은 김 씨가 고성군 임야를 매입한 한달 뒤인 90년 6월, 김 씨의 땅을 포함해 전국 1백80여개 읍.면.동을 ‘지가 급등지역’으로 지정하기도 했다.

또 88년에는 대전 유성구 용계동 임야 2650㎡를 사들였고, 이곳 주변 일대는 94년 관광특구로 지정됐다. 김 씨가 29살인 1978년에 매입한 경북 영주시 단산면 단곡리 임야(33만4507㎡, 10만1365평)는 80년 시로 승격 편입됐다.

김 씨와 이 전 시장 사이에 매매가 이뤄진 것으로 이미 알려진 충북 옥천군 임야 역시 박정희 전 대통령이 행정수도 이전을 위해 검토를 지시한 후보지 인근이다.

김 씨는 <경향신문>과의 통화에서 “개발정보를 사전에 입수해 부동산을 매입하지 않았다. 현 시가로도 얼마되지 않는다. 강원 고성군 등 부동산은 처가쪽 사람들과 돈을 모아 매입했다”고 부동산 투기의혹을 부인했다.

이명박 후보 처남 김재정씨가 67만평의 땅을 사들인 상습적 부동산투기세력이 아니냐는 의혹이 새로 제기돼 파문이 일고 있다. ⓒ연합뉴스


부동산 갑부였던 김재정, 그러나 미스테리한 가압류

미스테리는 웬만한 소도시 하나를 세울만한 땅 재벌인 김 씨는 그러나 수억 원대의 빚이나 세금을 내지 못해 자택이 몇 차례 가압류당한 사실이 있다는 점이다.

김 씨는 1985년 이명박 전 시장의 맏형 상은씨와 공동명의로 서울 도곡동 땅 6553㎡(1천9백86평)을 매입했다. 김 씨가 매입한 도곡동 땅 4필지 중 한 곳은 현대건설로부터 사들인 땅. 김 씨가 현대측으로부터 도곡동 땅을 사들인 당시 이 전 시장은 현대건설 사장으로 재직 중인 시기다.이후 김 씨는 도곡동 땅을 95년 포스코개발에 2백63억원(김씨 몫은 1백45억원)에 팔고도 자신의 2억여원의 부채를 갚지 못해 자택을 가압류 당했다. <경향신문>에 따르면 김 씨의 이 같은 재정난은 2~3년간 지속됐다.

김 씨는 이어 97년 9월, 제일은행으로부터 빌린 대여금 2억2천1백30만원을 갚지 못해 법원으로부터 가압류 결정을 받았고, 같은해 11월에는 한국기업리스가 김 씨를 상대로 손해배상금 2억6천만원을 청구해 법원으로부터 김 씨 자택이 가압류 조치가 내려졌다.

신용보증기금 역시 김 씨에게 빌려준 2억5백만원을 갚을 때까지 김 씨 집을 가압류했고, 이어 98년 11월에는 서울 강남구청이 세금 미납을 이유로 김 씨의 논현동 자택을 압류했다. 김씨에 대한 가압류 조치는 법원 결정이 내려진 뒤 3년이 지난 2000년에 해제돼 그간 김 씨의 재정난이 상당기간 이어졌음을 알 수 있다.

수많은 부동산을 자신 명의로 가지고 있음에도 이같은 각종 빚 독촉과 세금 체납에 시달려야만 했던 김 씨는 “빚보증을 잘못 서서 벌어진 일”이라며, 이 전 시장의 실제 재산관리인이라는 세간의 의혹에 대해 “(현대건설을) 퇴직하고 일을 많이 했다. 돈을 좀 모았다. 내 재산내역에 대해 때가 되면 밝히겠다”고 말했다.

김 씨는 한편 자신이 대주주인 (주)다스의 자회사인 ‘홍은플레닝’의 대표이사와 감사 자리에 이 전 시장 측근인 안순용, 김백준 씨가 선임된 것과 관련 “안 사장은 중학교 선배다. 김 감사는 동아시아연구원장으로 있을 때 알게 된 사람이다. 설립할 때 책임자가 없어서 시킨 것”이라고 해명했다.

김재정, 부동산 매입 시절은 현대건설 하도급 회사 운영시절

김 씨는 1949년 대구에서 태어나 경북중.고와 명지대를 졸업한 뒤 1976년 현대건설에 입사했다. 1982년 국내공사지원팀 과장을 끝으로 현대건설에서 퇴직한 김 씨는 부친이 설립한 세진개발을 물려받아 사업을 이어갔다. 세진개발은 토공사 등 건설 관련 일을 하던 회사로, 당시 이명박 전 서울시장이 대표로 있던 현대건설로부터 하도급공사를 많이 따낸 것으로 알려졌다.

김 씨가 1984년 대표로 취임한 세진개발은 이후 우신토건→우방토건→태영개발 등으로 회사 이름을 바꿨다. 김 씨가 전국에 부동산을 집중매입한 1982~1991년의 시기는 김 씨가 현대건설의 하도급을 받아 건축자재 도산매, 토목공사 관련 골재판매 회사를 운영하던 때와 일치한다. 이 전 시장은 지난 77년부터 88년까지 11년간 현대건설 사장을, 92년꺼지는 현대건설 회장을 역임했다.

실질소유자 논란을 사고 있는 (주)다스의 경우 김 씨 나이 39살이던 지난 1987년, 이 전 시장의 맏형 상은 씨와 함께 설립됐다. 다스는 이후 이 전 시장이 96년 선거법 위반 후 정계를 떠나있던 지난 2000년, 김경준 씨와 동업을 하는 여러 관계 회사에도 투자를 해 의혹을 산 바 있다.

이 전 시장의 박형준 대변인은 “김씨가 부동산을 사고 판 것은 개인의 경제활동으로 이후보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며 ““김씨는 사인(私人)이고, 개인적인 경제활동으로 부동산을 사고 판 것인데 그게 이 후보와 무슨 관련이 있느냐”고 반박했다.
김동현 기자

관련기사

댓글이 0 개 있습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