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추경 반대' 시사. 강만수 타격
한나라당 강력 반대에 일보 후퇴한듯
추경예산 편성을 둘러싸고 당정 갈등이 극으로 치닫고 있는 가운데, 이명박 대통령이 27일 "우리가 예산을 늘려서 일을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있는 예산을 매우 효과적으로 잘 쓸 수 있는 방식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추경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우회적으로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날 과천 중앙공무원교육원에서 열린 국무위원 재정전략회의에서 "각 부처가 나름대로 목표가 있기 때문에 제한된 재원을 갖고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것이 쉽지 않으나 그런 점에서 각 부처의 장관 이전에 국가살림을 사는 국무위원으로서의 자세가 매우 필요하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이 대통령은 또 "기초가 없이 그저 무리한 재정운영으로 성장해도 그게 국가발전에 도움이 되는 것은 아니다"라고 덧붙이기도 했다.
앞서 자신이 주재했던 국무회의에셔 추경예산을 의결했던 이대통령의 이같은 발언은 한나라당의 강력 반대로 종전 입장에서 한걸음 물러선 게 아니냐는 해석을 낳고 있다. 그러나 경과가 어떻듯 이 대통령의 추경 반대 시사로 추경 편성을 고집해온 강만수 기획재정부장관은 또 한차례 큰 타격을 받은 것으로 풀이돼 강 장관의 향후 대응이 주목된다.
한편 이 대통령은 "우리가 경제성장률을 7% 하겠다고 했으나 당장 올해, 내년에 달성할 수 없다고 하더라도 7% 성장할 수 있는 기초를 닦아야 한다"면서 "1-2년 목표가 미뤄지더라도 건전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기초를 만들어 내는게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한미FTA 비준과 관련해선 "미국을 다녀와서 한미 FTA를 꼭 이번 17대 국회에서 통과시켜야 겠다고 생각한다"면서 "이번 국회에서 안되면 18대 국회에서 해도 되고, 금년에 안되면 내년에 하면 된다는 자세로 가면 일하긴 편할지 몰라도 이는 국가 미래를 걱정하는 정부가 아니다"며 임기국회내 비준을 촉구했다.
그는 쇠고기 시장 개방과 관련해선 "개방은 미국 뿐 아니라 모든 나라에서 들어올 수 있는 건 다 개방하는 게 맞다"며 "그 다음은 소비자의 몫이며, 정부는 피해를 입는 축산농가와 농민들에게 어떻게 전화위복이 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줄것이냐, 보상 차원에서 끝나지 않고 이번 일을 계기로 우리 축산업이 경쟁력을 키워 세계 어느 나라의 값싼 쇠고기가 들어와도 값비싼, 질 좋은 쇠고기로 경쟁할 수 있는 길을 만들어줘야 할 책임이 있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과천 중앙공무원교육원에서 열린 국무위원 재정전략회의에서 "각 부처가 나름대로 목표가 있기 때문에 제한된 재원을 갖고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것이 쉽지 않으나 그런 점에서 각 부처의 장관 이전에 국가살림을 사는 국무위원으로서의 자세가 매우 필요하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이 대통령은 또 "기초가 없이 그저 무리한 재정운영으로 성장해도 그게 국가발전에 도움이 되는 것은 아니다"라고 덧붙이기도 했다.
앞서 자신이 주재했던 국무회의에셔 추경예산을 의결했던 이대통령의 이같은 발언은 한나라당의 강력 반대로 종전 입장에서 한걸음 물러선 게 아니냐는 해석을 낳고 있다. 그러나 경과가 어떻듯 이 대통령의 추경 반대 시사로 추경 편성을 고집해온 강만수 기획재정부장관은 또 한차례 큰 타격을 받은 것으로 풀이돼 강 장관의 향후 대응이 주목된다.
한편 이 대통령은 "우리가 경제성장률을 7% 하겠다고 했으나 당장 올해, 내년에 달성할 수 없다고 하더라도 7% 성장할 수 있는 기초를 닦아야 한다"면서 "1-2년 목표가 미뤄지더라도 건전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기초를 만들어 내는게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한미FTA 비준과 관련해선 "미국을 다녀와서 한미 FTA를 꼭 이번 17대 국회에서 통과시켜야 겠다고 생각한다"면서 "이번 국회에서 안되면 18대 국회에서 해도 되고, 금년에 안되면 내년에 하면 된다는 자세로 가면 일하긴 편할지 몰라도 이는 국가 미래를 걱정하는 정부가 아니다"며 임기국회내 비준을 촉구했다.
그는 쇠고기 시장 개방과 관련해선 "개방은 미국 뿐 아니라 모든 나라에서 들어올 수 있는 건 다 개방하는 게 맞다"며 "그 다음은 소비자의 몫이며, 정부는 피해를 입는 축산농가와 농민들에게 어떻게 전화위복이 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줄것이냐, 보상 차원에서 끝나지 않고 이번 일을 계기로 우리 축산업이 경쟁력을 키워 세계 어느 나라의 값싼 쇠고기가 들어와도 값비싼, 질 좋은 쇠고기로 경쟁할 수 있는 길을 만들어줘야 할 책임이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