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그린벨트 100㎢ 해제키로
10년간 500가구 새로 짓기로, '과잉공급' 심화 우려
수도권에 300만가구의 아파트를 짓기 위해 수도권 일대 그린벨트 100㎢ 모두가 풀린다.
국토해양부는 19일 당정간담회후 향후 10년간 500만가구를 짓겠다는 '국민 주거안정을 위한 도심공급 활성화 및 보금자리주택 건설방안'을 발표했다.
국토부는 향후 10년동안 500만가구(수도권 300만가구)를 건설해 현재 99.3%(수도권 94.6%. 1인가구 및 다가구 구분거처 반영)인 주택보급률을 2018년에는 107.1%(수도권 103.3%)로 높인다는 구상이다.
주택 유형별로는 분양주택 410만가구, 임대주택 90만가구이며, 규모별로는 중소형(전용 85㎡이하) 300만가구, 중대형 200만가구를 각각 지을 계획이다.
수도권 300만가구의 경우 광역재정비(60만가구), 재건축.재개발(37만가구), 역세권개발(16만가구), 다세대.다가구(30만가구) 등 도시내 건설과, 그린벨트 해제 등을 통해 도시근교 120만가구를 지을 예정이다.
이 중 송파, 동탄2 등 2기신도시에서 공급되는 80만가구를 제외한 나머지 40만가구는 그린벨트 해제와 산지.구릉지 개발 등을 통해 짓는다. 40만가구를 위해 필요한 면적은 100㎢로, 주택 건설이 가능한 산지.구릉지가 대부분 그린벨트인 것을 감안하면 100㎢ 거의 전부가 그린벨트를 해제해 공급될 전망이다.
서민주거안정을 위해서는 10년간 120조원을 투입해 150만가구를 짓기로 했다. 보금자리주택은 공공분양 70만가구, 공공임대(10년 및 20년 임대) 30만가구, 국민임대 40만가구, 영구임대 10만가구 등이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 100만가구, 지방 50만가구이며 수도권에서는 도시내 20만가구, 도시근교 30만가구, 도시외곽 50만가구이다.
보금자리주택은 용적률 상향(200%수준)과 녹지율 하향조정 등을 통해 분양가를 15%가량 낮추고 또 저리로 지원되는 주택구입자금도 가구당 평균 7천만원에서 8천만원으로 상향되고 30년 장기대출도 도입돼 구입 부담이 자기소득의 30~40%수준으로 낮아진다.
공공임대중 10년임대 20만가구는 지분형 임대주택 위주로 공급되며 1993년을 끝으로 사라졌던 영구임대주택이 연간 1만가구씩 건설된다.
국토부는 보금자리주택을 청약저축가입자중 무주택 서민, 근로자, 신혼부부 등에 사전예약방식으로 공급하고 전매기간중 팔 경우에는 공공이 시세차익을 배제한 가격으로 우선 매수할 방침이다.
정부의 이번 대책은 당초 예상보다 아파트 공급을 대거 늘리겠다는 것이나, 작금의 아파트 미분양 대란이 고분양가-과잉공급에 따른 것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과잉공급 상황을 더욱 심화시키는 부작용을 낳는 게 아니냐는 우려를 심화시키고 있다. 또한 그린벨트 대거 해제 방침은 환경단체뿐 아니라 인근 기존주민들의 강한 반발도 초래할 전망이어서 한차례 뜨거운 논란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국토해양부는 19일 당정간담회후 향후 10년간 500만가구를 짓겠다는 '국민 주거안정을 위한 도심공급 활성화 및 보금자리주택 건설방안'을 발표했다.
국토부는 향후 10년동안 500만가구(수도권 300만가구)를 건설해 현재 99.3%(수도권 94.6%. 1인가구 및 다가구 구분거처 반영)인 주택보급률을 2018년에는 107.1%(수도권 103.3%)로 높인다는 구상이다.
주택 유형별로는 분양주택 410만가구, 임대주택 90만가구이며, 규모별로는 중소형(전용 85㎡이하) 300만가구, 중대형 200만가구를 각각 지을 계획이다.
수도권 300만가구의 경우 광역재정비(60만가구), 재건축.재개발(37만가구), 역세권개발(16만가구), 다세대.다가구(30만가구) 등 도시내 건설과, 그린벨트 해제 등을 통해 도시근교 120만가구를 지을 예정이다.
이 중 송파, 동탄2 등 2기신도시에서 공급되는 80만가구를 제외한 나머지 40만가구는 그린벨트 해제와 산지.구릉지 개발 등을 통해 짓는다. 40만가구를 위해 필요한 면적은 100㎢로, 주택 건설이 가능한 산지.구릉지가 대부분 그린벨트인 것을 감안하면 100㎢ 거의 전부가 그린벨트를 해제해 공급될 전망이다.
서민주거안정을 위해서는 10년간 120조원을 투입해 150만가구를 짓기로 했다. 보금자리주택은 공공분양 70만가구, 공공임대(10년 및 20년 임대) 30만가구, 국민임대 40만가구, 영구임대 10만가구 등이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 100만가구, 지방 50만가구이며 수도권에서는 도시내 20만가구, 도시근교 30만가구, 도시외곽 50만가구이다.
보금자리주택은 용적률 상향(200%수준)과 녹지율 하향조정 등을 통해 분양가를 15%가량 낮추고 또 저리로 지원되는 주택구입자금도 가구당 평균 7천만원에서 8천만원으로 상향되고 30년 장기대출도 도입돼 구입 부담이 자기소득의 30~40%수준으로 낮아진다.
공공임대중 10년임대 20만가구는 지분형 임대주택 위주로 공급되며 1993년을 끝으로 사라졌던 영구임대주택이 연간 1만가구씩 건설된다.
국토부는 보금자리주택을 청약저축가입자중 무주택 서민, 근로자, 신혼부부 등에 사전예약방식으로 공급하고 전매기간중 팔 경우에는 공공이 시세차익을 배제한 가격으로 우선 매수할 방침이다.
정부의 이번 대책은 당초 예상보다 아파트 공급을 대거 늘리겠다는 것이나, 작금의 아파트 미분양 대란이 고분양가-과잉공급에 따른 것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과잉공급 상황을 더욱 심화시키는 부작용을 낳는 게 아니냐는 우려를 심화시키고 있다. 또한 그린벨트 대거 해제 방침은 환경단체뿐 아니라 인근 기존주민들의 강한 반발도 초래할 전망이어서 한차례 뜨거운 논란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