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은행 건전성 BIS, 사상최고치 경신

대규모 증자, 파생상품 거래 감소, 대출 축소

은행들의 자본 건전성 지표인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금융감독원은 지난 6월 말 현재 국내 18개 은행의 BIS 비율은 평균 13.74%로 3개월 사이에 0.80%포인트 상승했다고 2일 밝혔다. 이는 종전 최고치인 2006년 3월 말의 13.18%를 경신한 것이다.

13개 일반은행의 BIS 비율은 평균 14.25%, 5개 특수은행은 평균 12.91%이며, 특히 한국씨티은행(15.64%)과 신한은행(15.84%)은 15%를 넘었다.

BIS 비율 최고치 경신은 대규모 증자와 위험자산 감소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은행들은 2분기에 증자(1조7천억원), 신종자본증권 발행(1조1천억원), 후순위채 발행(2조5천억원), 순이익(2조1천억원) 등을 통해 자기자본을 5조7천억원 늘려 BIS 비율을 끌어올렸다.

이와 함께 파생상품의 거래 감소, 환율 하락, 총여신의 감소 등으로 위험가중자산이 27조6천억원 줄어든 것도 영향을 미쳤다.
박태견 기자

관련기사

댓글이 2 개 있습니다.

  • 6 3
    정신차려이제시작

    mmf와 양도성예금증서 cma때문이다.
    우리나라의 부동산 잠재적부실과 대외여건의 약하는 경제적인 체질이 개선되지 않았는데도 부룩하고 bis오르는 것은 증자도 있겠지만 양도성 예금증서와 mmf. cma때문이다.
    단기채권자금중에서 자산운용사나 증권사등이 은행의 단기채권을 지속적으로 사주고 있기때문이다.
    왜냐하면 단기채권의 채권수익률이 상당히 크고. (91일 2.5% ) 은행에 자금을 지원하지 않으면 부동산시장의 급락으로 인해서 부실채권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때문이다.
    그러면 a증권사 b증권사처럼 부도위기에 처해질수 있기때문에 증권사. 자산운용사들은 은행을 지원할수밖에 없는 것이다.

  • 4 6
    늙은새

    BIS비율은 자본적정성 지표입니다
    기사에 딴지거는 건 아니구요...정확히 말하면 BIS비율은 건전성이 아닌 자본적정성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자산건전성은 일반적으로 부실여신비율로 측정하지요...
    뭐 그게 그거 아니냐라고 하실 수도 있지만, 엄밀히 말하면 전혀 다른 지표입니다. 자본적정성(자기자본/자산)은 은행이 얼마나 자기자본을 충실히 가지고 가느냐 하는 것을 의미하구요,
    건전성은 자산중에서 부실여신이 얼마나 되느냐(부실여신/총여신)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최근 부실여신비율은 조금 낮아졌지만 사상 최고치는 아니지요...건전성은 낮을수록 좋은 것입니다
    평소에 뷰스엔뉴스 자주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