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국민들, 젊은 아베 신임총리 지도력에 '불안'
경험 부족, 정책실행력에 의문 제기
여론조사 결과 차기 총리에 오를 아베 신조(安倍晋三) 관방장관에 대한 지지도가 65%에 달함에 불구하고, 강력한 지도력을 발휘할 것으로 기대한 응답은 20%대에 그쳐 향후 아베 내각의 앞날이 순탄치 않을 것으로 전망됐다.
또 아베 장관이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힌 헌법해석 변경을 통한 집단적 자위권 행사에 대한 지지도 27%에 그쳐 총리 취임후 국정 수행이 상당한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분석됐다.
‘아베 정권구상과 정책 뭔지 모른다’ 60% 달해
22일 <마이니치(每日)신문>이 일본의 집권 자민당의 총재로 선출돼 오는 26일 국회 투표를 통해 차기 총리에 오를 아베 관방장관의 총재 취임 후 인터넷을 통해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응답자의 65%가 지지를 표시했으며, 35%는 지지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특히 아베 장관이 주장해온 '헌법 해석의 변경으로 집단적 자위권의 행사를 가능하게 해야 한다'에 찬성한다는 답은 27%에 그친 반면, 집단적 자위권을 ‘헌법개정으로 행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가 36%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집단적 자위권 행사를 인정해서는 안된다’는 의견 역시 36%를 차지해 아베 장관의 집단적 자위권정책에 대한 지지도가 높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누구나 도전, 재도전할 수 있는 사회의 실현을 내걸고 있는 ‘재도전이 가능한 사회’ 캐치프레이즈에 대해서는 ‘격차문제를 해소하는 정책으로서 평가할 수 있다’라는 답변이 25%에 그친 반면 ‘구체적인 정책을 모르기 때문에 판단할 수 없다’가 60%로 나타났고, 아베 장관의 지지층에서도 ‘판단할 수 없다’가 50%로 나타나 아베 장관의 정책이 추상적인 내용에 그치고 있다는 평가가 많았다.
반면 ‘주장하는 외교’를 내건 외교적 태도에 대해서는 74%의 지지를 나타내, 북한에 대한 강경대응으로 상징되는 아베 장관의 강경 외교정책이 계속되는 게 아니냐는 관측을 낳고 있다.
또한 총리 취임 후 야스쿠니 참배에 대한 대응에 대한 설문에서는 ‘참배해야 하지만, 공표할 필요는 없다’라는 답변이 30%, ‘참배해서는 안된다’가 47%, ‘참배해 공표해야 한다’가 23%로 참배 찬성파가 53%로 참배 반대파보다 다소 높았다.
아베 부족한 점, 경험-정책실행력-리더십 순
한편 이번 조사에서는 아베의 경험 부족이나 정책실행력에 불안을 느끼는 사람이 많았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베 장관의 자질로 ‘가장 평가할 수 있는 것’과 ‘가장 부족한 것’을 12항목씩의 선택항목으로 물어본 결과 ‘가장 평가할 수 있는 것’에서는 ▲국민적 인기 33% ▲젊음 24% ▲ 인품 16%이라는 항목이 많았고, ‘가장 부족한 것’은 ▲경험 28% ▲정책실행력 15% ▲리더십 14%의 순으로 나타나, 정치가로서의 실력에 대해 의문을 표시하는 답변이 많았다고 이 신문은 분석했다.
특히 자민당내 지지층에서 아베 장관의 부족한 자질로 ‘경험’을 든 사람이 40%에 달해, 총재로 당선된 가장 큰 승리 요인으로 내년 7월에 열릴 참의원선거를 위해 ‘선거의 얼굴’과 인기를 고려한 것이라는 일본 내외의 평가를 뒷받침했다.
<아사히(朝日)신문>의 여론조사에서도 '아베 장관이 총재가 돼 좋았다'는 응답이 57%, 아베 총재에 친밀감을 느낀다고 말한 사람도 59%에 달해 대중적인 인기는 고이즈미 총리 못지 않게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싸우는 정치가'를 내세우고 있는 아베 총재에 대해 강력한 지도력을 기대한 응답은 29%에 불과했으며, 자신의 신념과 생각을 잘 설명하지 못하고 애매하다는 답변도 42%로 조사돼 일본을 이끌 철학과 지도력에서는 일본 국민들의 우려가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또 아베 장관이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힌 헌법해석 변경을 통한 집단적 자위권 행사에 대한 지지도 27%에 그쳐 총리 취임후 국정 수행이 상당한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분석됐다.
‘아베 정권구상과 정책 뭔지 모른다’ 60% 달해
22일 <마이니치(每日)신문>이 일본의 집권 자민당의 총재로 선출돼 오는 26일 국회 투표를 통해 차기 총리에 오를 아베 관방장관의 총재 취임 후 인터넷을 통해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응답자의 65%가 지지를 표시했으며, 35%는 지지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특히 아베 장관이 주장해온 '헌법 해석의 변경으로 집단적 자위권의 행사를 가능하게 해야 한다'에 찬성한다는 답은 27%에 그친 반면, 집단적 자위권을 ‘헌법개정으로 행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가 36%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집단적 자위권 행사를 인정해서는 안된다’는 의견 역시 36%를 차지해 아베 장관의 집단적 자위권정책에 대한 지지도가 높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누구나 도전, 재도전할 수 있는 사회의 실현을 내걸고 있는 ‘재도전이 가능한 사회’ 캐치프레이즈에 대해서는 ‘격차문제를 해소하는 정책으로서 평가할 수 있다’라는 답변이 25%에 그친 반면 ‘구체적인 정책을 모르기 때문에 판단할 수 없다’가 60%로 나타났고, 아베 장관의 지지층에서도 ‘판단할 수 없다’가 50%로 나타나 아베 장관의 정책이 추상적인 내용에 그치고 있다는 평가가 많았다.
반면 ‘주장하는 외교’를 내건 외교적 태도에 대해서는 74%의 지지를 나타내, 북한에 대한 강경대응으로 상징되는 아베 장관의 강경 외교정책이 계속되는 게 아니냐는 관측을 낳고 있다.
또한 총리 취임 후 야스쿠니 참배에 대한 대응에 대한 설문에서는 ‘참배해야 하지만, 공표할 필요는 없다’라는 답변이 30%, ‘참배해서는 안된다’가 47%, ‘참배해 공표해야 한다’가 23%로 참배 찬성파가 53%로 참배 반대파보다 다소 높았다.
아베 부족한 점, 경험-정책실행력-리더십 순
한편 이번 조사에서는 아베의 경험 부족이나 정책실행력에 불안을 느끼는 사람이 많았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베 장관의 자질로 ‘가장 평가할 수 있는 것’과 ‘가장 부족한 것’을 12항목씩의 선택항목으로 물어본 결과 ‘가장 평가할 수 있는 것’에서는 ▲국민적 인기 33% ▲젊음 24% ▲ 인품 16%이라는 항목이 많았고, ‘가장 부족한 것’은 ▲경험 28% ▲정책실행력 15% ▲리더십 14%의 순으로 나타나, 정치가로서의 실력에 대해 의문을 표시하는 답변이 많았다고 이 신문은 분석했다.
특히 자민당내 지지층에서 아베 장관의 부족한 자질로 ‘경험’을 든 사람이 40%에 달해, 총재로 당선된 가장 큰 승리 요인으로 내년 7월에 열릴 참의원선거를 위해 ‘선거의 얼굴’과 인기를 고려한 것이라는 일본 내외의 평가를 뒷받침했다.
<아사히(朝日)신문>의 여론조사에서도 '아베 장관이 총재가 돼 좋았다'는 응답이 57%, 아베 총재에 친밀감을 느낀다고 말한 사람도 59%에 달해 대중적인 인기는 고이즈미 총리 못지 않게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싸우는 정치가'를 내세우고 있는 아베 총재에 대해 강력한 지도력을 기대한 응답은 29%에 불과했으며, 자신의 신념과 생각을 잘 설명하지 못하고 애매하다는 답변도 42%로 조사돼 일본을 이끌 철학과 지도력에서는 일본 국민들의 우려가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