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3분기 성장률 예상보다 급랭, 앞으로가 더 걱정

전기대비 0.7%에 그쳐, '원高' 빠르게 진행되면서 수출 타격 우려

지난 3분기 경제성장률이 전년동기 대비 4.5%, 전분기 대비로는 0.7%에 그쳐, 시장의 예상보다 경기가 빠르게 급랭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문제는 최근의 급격한 원화절상 여파로 4분기 성장률은 더 좋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는 점이다.

한국은행이 27일 발표한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속보치)'에 따르면 3분기 GDP는 전년동기 대비 4.5% 증가했다. 이는 지난해 4분기 6.0%, 올해 1분기 8.1%와 2분기 7.2%와 비교할 때 1년만의 최저치다.

특히 전기 대비 성장률은 0.7%에 그치면서 전분기 1.4%의 절반에 불과했다. 이 또한 작년 4분기의 0.2% 이후 최저 수준이다. 이는 앞서 <블룸버그> 통신이 전망했던 예상치 0.8%보다도 낮은 수칭여서, 시장의 예상보다 경기가 급랭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경제성장률이 둔화된 것은 기상 이변에 따른 농림어업에다가 수출 신장세가 둔화된 데 따른 것이다.

농림어업은 전년 동기 대비 6.1% 감소하면서 2003년 4분기의 -8.0% 이후 6년9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전기 대비로는 2.0% 감소했다.

제조업은 일반기계와 운송장비 등을 중심으로 전기 대비 2.0%, 전년 동기 대비 15.9% 증가하면서 견실한 성장세를 유지했으나, 서비스업은 운수 및 보관업, 부동산 및 임대업 부진으로 전년 동기 대비 3.6%, 전기대비 0.3% 증가에 그쳤다.

수출에도 경고등이 켜졌다. 재화수출은 전기대비 1.9% 증가에 그치면서 작년 4분기의 -1.5% 이후 가장 낮은 증가율을 보였다. 반면에 재화수입은 원유 및 천연가스, 일반기계 등을 중심으로 전기대비 2.5% 증가했다.

민간소비는 식료품, 오락 및 문화 서비스 등에 대한 지출이 둔화됐지만 휴대전화와 승용차 등 내구재 지출이 확대되면서 1.3% 증가했다. 설비투자는 반도체와 제조용 장비, 정밀기기 등 기계류 투자가 늘어 전기대비 6.3% 증가했다.

교역조건 변화를 반영한 실질국내총소득(GDI)의 전기 대비 성장률은 더 낮아 0.2%에 그쳤고, 전년동기 대비 4.5% 증가했다.

문제는 이달 들어 환율전쟁이 발발하면서 원화가치가 빠르게 절상되면서 수출에 타격이 가해져 4분기이후 성장률이 더 좋지 않을 것이라는 점이다. 이럴 경우 삼성경제연구소 등 민간이 예상하듯 내년도 성장률은 3%이하가 될 가능성이 높아, 5% 성장을 자신하던 정부 예측이 빗나가면서 재정적자 급증 등 각종 부작용이 우려되고 있다.
박태견 기자

관련기사

댓글이 15 개 있습니다.

  • 0 0
    111

    원 고는 서민들 삶을 편하기 해줄겁니다
    1달러 50원 ㅋㅋ
    1달러 50원 ...... 달러바꿔서 해외여행도 갈수 잇어
    달러 결제가 되는곳에는

  • 0 0
    111

    환율이 좀 많이100원 정도 하락해서 환차익 수익이 줄얻드다보니 그런것뿐이야
    ㅁ아기 환율당국자가 필사적으로 1100원대는 사수할겁니다
    -
    여기서 100원도 더 떨어지면 1000원대 또 풀가동으로 환율방어할겁니다 .
    대기업 이건희 회장 환차익이 줄어드니
    환울에서 100원 우습게 보면 안되요
    -
    환율이 900원대로 내려가면 티코로 당한 중소기업이 삽니다

  • 9 0
    탄핵이정답

    그러게 진작에 쥐색끼 내?았어야지
    지금도 가만 있는 걸 보면
    궁민들은 아직도 배가 부르나봐
    지금까지 쥐색끼 패밀리가 한 짓들을 보면
    벌써 탄핵하고도 남았지

  • 7 0
    나그네

    걱정마라.....한나라
    환율이 내려 수출에 타격이 온들
    무슨 그 영향이 서민까지 미치겠느냐.......

  • 8 0
    배우고 또 배우자

    지상최고의 기회주의자
    내실보다 외형추구주의자
    미봉책의본좌
    실적을 과장하여 자랑하는자
    의무보다 권리를 주장하는자
    입에 꿀을 발라 서민을 희롱하고
    얄팍한 돈장난 꽁수로 경제대통령의 진수를 보여준다

  • 8 0
    ㅎㅎㅎㅎ

    환율정책으로 기업성장하는것도 어느정도지..부작용이 심각할둣,,눈가리고 아웅?

  • 9 0
    불면증

    아래 글 올린 일반 국민들도 이제 다 알아 버린 사실을. 정책 담당자들은 대체 어쩌자고 낭떠러지로 몰고 가는건지. 가계 부채 시한 폭탄 시계는 지금 이 시간도 폭발을 향해 째깍째각. 밑에 글 대로 잠이 안 온다.

  • 10 0
    111

    앞으로 더할거다 서방 긴축
    중국은 금리인상 게속하지 - 긴축과도 관련이 잇지

  • 14 0
    사실

    MB정권에서 경제정책이란게 환율밖에 더 있었나?
    환율이 내려가니 뽀록 나는거지. 또 시장원리상 그렇게 되겠고
    구멍가게도 가격경쟁하면 망하는 법인데..
    하물며 국가가 환율 가지고 장난치면 일시적으로는 흥하겠지만
    결국 수출도 내수도 개판되어 망하는 수 밖에..

  • 20 0
    잠이안와

    한국경제는 이한구 말대로 빚 끌어다 때깔만 쳐바른 낙제점이란 건데. 낙제점이 문제가 아니라 청년실업, 비정규직 급증, 양극화로 내수는 완전 죽었고,자영업은 자폭 직전이고,급속한 고령화로 대책이 시급한데 재정은 빵꾸 났고, 수출경쟁력은 떨어지고 첩첩 산중 낭떠러지를 스카이 콩콩 타고 지롤하는 형국이다. 자 이게 경제대통령이 해 놓은 우리의 자화상이다..

  • 18 0
    서민 죽는다.

    말로만 듣던 최악의 스테크플레이션이. 쓰나미로 덮치겠구만.
    서민들. 죽을일만 남았다. 대비고 뭐고 없다.

  • 9 0
    李萬브라더스

    쥐20 에서 시장에게 맡기는 환율 합의 했으니 당연 환율은 내려가겠지. 747 달성 할려구 강만두가 환율주권론 이니 캐드립 치면서 대기업 배만 남산만큼 불려주고, 수입물가 폭등에 환율폭등으로 제2 IMF 사태 맞을 뻔 했었다. 물가관리 품목 발표, 유류환급금 지급등 쌩난리를 쳤었지..

  • 21 0
    캐살구

    우리나라 원화는 대표적 저평가 화폐다. 노무현 때는 900원 대 환율로도 수출 무지 많이 했지. 기술 경쟁력 없이 수출 대기업 배만 채워주고 물가 부담은 서민에게 넘기는 고환율 정책은 빛 좋은 캐살구일 뿐이다..

  • 18 0
    10%로 금리 올려

    쥐20 자충수 자랑질 하더니,
    지 발목 잡는줄도 모르고 떠들기만 하더니,
    외국에선 금리 인상을 주장 해 놓더니,
    => 대외, 대내신 정책 사기질이 꼭 현대차 차 값처럼 더럽구나.. 만수의 개수작이 약발 다 떨어졌다~! 쯩혀나 정신 차려라~! 금리 빨리 올려~! 10%로~!

  • 23 2
    만수형

    환율이고 뭐고 국민들도 좀 삽시다. 물가가 올라서 허리가 휘는데, 환율이 좀 내려야지 . 이거 뭐 환율 떨어지면 무슨 일 날거 처럼 난리들이니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