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인플레 심리 급팽창, 1년6개월만에 최고치

물가 불안 확산으로 경기 비관론 확산

연초부터 계속되는 물가·전세값 폭등과 구제역 대재앙 확산으로 소비자들 사이에 인플레이션 기대심리가 급팽창하고 있다.

한국은행이 지난 13일부터 20일까지 전국 2천132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해 26일 발표한 `1월 소비자동향지수'에 따르면 향후 1년간 물가 상승률 전망치인 기대인플레이션율은 3.7%로 전달보다 0.4%포인트 급등했다.

이는 2009년 7월(3.8%) 이후 1년 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기대인플레이션율이 지난해 3.0~3.4%에 머물다가 새해 들어 한은의 물가관리 목표범위(3±1%) 중심치를 넘어선 것이다.

향후 물가가 3.5% 넘게 오를 것으로 예상한 소비자의 비중은 전달 32.9%에서 이달 55.7%로 급증했다. 또 소비자의 29.5%는 물가 상승률이 4%를 초과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체감경기를 보여주는 소비자심리지수(CSI, 기준치 100) 가운데 6개월 후의 물가수준 전망 지수는 작년 12월보다 13포인트 급등한 153으로 2008년 7월(160) 이후 2년 6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경기 상승세 둔화 및 물가불안 우려 확산에 따라 전체 CSI는 작년 11월 110에서 12월 109, 올해 1월 108로 두 달 연속 떨어졌다.

이중 현재 경기판단 CSI는 88로 전달보다 7포인트, 향후 경기전망 CSI는 97로 8포인트 하락했다. 가계의 소비심리를 나타내는 현재생활형편 CSI는 90, 생활형편 전망 CSI는 98로 3포인트씩 낮아졌다.
박태견 기자

댓글이 7 개 있습니다.

  • 0 1
    111

    전세가격을 3억5천만원으로 만들어놓아도
    아파트 안사야
    -
    물가폭동대란이 올거라고 이야기한것같은데

  • 1 1
    버블세븐

    미분양 해결해야지

  • 5 1
    부패의 추억

    좋은 기회일수도 있다.
    한번 인플레이션에 호되게 당해 보아야,
    다시는 금리와 환율로 장난 안친다.
    그리고, 인플레이션에 국민들이 반 죽도록 디어 보아야
    다시는 저런 C급들한테 표 안준다.

  • 11 1
    맹박, 쯩현, 만수

    학계, 재계 전문가들은 거의다가 이미 예견하고, 조치를 취하라고 조언, 권고 했으나, 이노무 쥐정부는 오로쥐 환율 조작을 통한 개 대기업의 실적만 고려하여 생긴 원초적 구제 불능의 경제 드라이브다! 애초에 윤증현, 강만수가 누구인가 IMF의 주범들이 아니던가!
    저 찌질이들을 저자리 앉혀서 나랄 또 엉망으로 만들고 있다~!

  • 12 1
    ▣ 느낌

    한정권에 한번 있을까 말까한 폭등이 계속해서 꼬리에 꼬리를 물고 있다. 연이어 칠칠치 못한 정책 실패의 그 끝은 실기한 금리, 방만한 재정팽창으로 인플레를 잡기는 커녕 시장의 불확실성만 잔뜩 키웠으며 결국 부동산시장에서 뭔일이 나도 나지 않을까 싶다. 가계부채 700조가 넘는 미친 현실 !!

  • 8 1
    서민 말살

    환율이 900원 정도는 가야지 뭔 얘기가 되지. 수입 단가가 올라가니 환율 이 조시면 힘들다. 서민들은 다 죽었다고 봐야지.

  • 1 0
    111

    누적된 ㅅ입물가가ㅏ 가파르게 상승하다보니
    환율을 현재 1100원에서 --100원으로 낮추면 물가상승 억제할수 잇다
    -
    일본이 물가억제가 되는것이 엔고 때문이지
    똑같이 수입을 하는데
    일본이 더 많이 할겁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