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당 '공황', 당사수파 "전대 연기해야"
김근태 퇴진론도. 열린당 신당 창당 사실상 물 건너가
법원의 기간당원제 당헌개정 무효 판결에 열린우리당이 말 그대로 '공황' 상태에 빠졌다.
통합신당을 추진해온 김근태 비대위 등 신당파는 아연실색한 분위기며, 당 사수파는 법원 결정을 대환영하며 전당대회 연기 등을 주장하며 당 헤게모니 장악을 위한 본격적 행보를 시작했다.
김근태 등 통합신당파 "큰 충격"
법원 판결 소식에 19일 오전 의원총회를 열었던 열린우리당은 오후에 재차 의원총회를 긴급소집하고, 전당대회 준비위원회와 비대위를 잇따라 여는 등 파문 수습에 나서고 있으나, 각 계파별로 의원들이 모임을 갖고 세 분석과 법원 판결에 따른 득실 계산에 나서는 등 극한적 혼란상을 노정하고 있다.
가장 큰 타격을 받은 김근태 당의장은 “큰 충격이다. 당에 대한 도전이고 난관이 조성된 것”이라고 충격을 감추지 못했다. 김 의장은 “국민 여러분이 걱정할 텐데 잘 돌파해나갈 것"이라며 "비대위와 의원총회를 열고 난관을 어찌할 지 의논하고 반드시 극복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신당파 의원들도 이날 국회 본회의와 의총장 곳곳에서 “충격이다. 창피하다”며 충격을 감추지 못하는 있다.
당 사수파 "김근태 물러나야. 전대도 연기해야"
그러나 당 사수파는 법원 판결을 환영하며 신기남 의원실에서 대책회의를 열고 벌써부터 김근태 책임론을 제기하며 전대 연기론까지 주장하고 나서고 있다.
당 사수파인 백원우 의원은 “비대위가 당헌당규 개정에 대해 엄격한 해석 없이 한 부분 책임이 있다”고 당 지도부 책임론을 제기하며 “2.14전당대회를 그대로 개최할 일은 아닌 것 같다”고 전당대회 연기를 주장했다. 신당 창당을 논의할 전당대회 자체를 백지화시키려 하고 있는 것.
비대위원인 정장선 의원도 “오늘 법원에서 효력정지 가처분결정을 내린 부분에는 비대위가 가장 큰 책임이 있다”며 “비대위는 중앙위를 통해 전원사퇴를 요구하면 그 권한을 어떻게 넘겨줄지에 대해 논의해야 하며, 현 비대위는 절대 유지시킬 수 없다는 생각이다. 중앙위를 거쳐 위임받는 과정을 밟으면 혼란스럽겠지만 현 비대위원들은 물러나야 한다. 이후 의원들이 전당대회 여부를 결정해야 할 것이며 이같은 사법부 판결을 받은 데 대해 매우 창피하다”고 비대위 즉각 사퇴를 주장했다.
원혜영 "중앙위 열어서 결정하면 돼"
이에 대해 비대위의 이목희 의원은 “가처분 발표부터 당헌당규 효력이 정지되는 것이기에 법원 판결 이전에 대해서는 소급 적용이 되지 않는다"며 "지금까지 진행된 일에 대해 크게 문제될 것이 없다”고 예정대로 전대를 치뤄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런 부분에서 더 큰 것은 이런 일이 생기는 상황에서 당을 같이 해야 하느냐라는 것"이라며 "정치 문제를 법정으로 끌고가는 상황에서 불만이 더 쏟아질 것”이라고 당 사수파를 비난했다.
원혜영 전대 준비위원장은 “중앙위를 다시 열어서 하면 될 일이다. 중앙위에서 3분의 2 이상 찬성을 거치면 될 일이라서 큰 문제는 없다. 아침 비대위에서도 이를 점검했다”며 전대를 예정대로 치룰 것임을 분명히 했다.
비대위원인 이석현 의원도 “구 당헌대로 할 수 있는 방안이 있고, 또는 가처분 결정을 존중해서 중앙위를 다시 열어 결의하면 될 일”이라며 “전대 날짜 변경도 크게 수정할 일은 아닌 것 같다. 비대위에서 다수 의견이 보정할 부분만 하면 된다는 의견”이라고 밝혔다.
중앙위 소집도 쉽지 않아
그러나 중앙위 개최도 쉽지 않을 전망이다.
열린우리당의 중앙위원은 지도부등 당연직 중앙위원을 포함해 80여명. 지도부를 제외하면 68명이다. 그러나 일부 중앙위원들이 그동안 사퇴 입장을 밝힌 뒤 사퇴 했는지가 확인되지 않고 있어 중앙위원이 몇명인지조차 당장 확인이 안되는 상황이다.
또 중앙위원을 겸직중인 의원들 10여명이 현재 해외 체류중으로 당장 중앙위 개최를 개최하는 것도 어렵다.
통합신당을 추진해온 김근태 비대위 등 신당파는 아연실색한 분위기며, 당 사수파는 법원 결정을 대환영하며 전당대회 연기 등을 주장하며 당 헤게모니 장악을 위한 본격적 행보를 시작했다.
김근태 등 통합신당파 "큰 충격"
법원 판결 소식에 19일 오전 의원총회를 열었던 열린우리당은 오후에 재차 의원총회를 긴급소집하고, 전당대회 준비위원회와 비대위를 잇따라 여는 등 파문 수습에 나서고 있으나, 각 계파별로 의원들이 모임을 갖고 세 분석과 법원 판결에 따른 득실 계산에 나서는 등 극한적 혼란상을 노정하고 있다.
가장 큰 타격을 받은 김근태 당의장은 “큰 충격이다. 당에 대한 도전이고 난관이 조성된 것”이라고 충격을 감추지 못했다. 김 의장은 “국민 여러분이 걱정할 텐데 잘 돌파해나갈 것"이라며 "비대위와 의원총회를 열고 난관을 어찌할 지 의논하고 반드시 극복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신당파 의원들도 이날 국회 본회의와 의총장 곳곳에서 “충격이다. 창피하다”며 충격을 감추지 못하는 있다.
당 사수파 "김근태 물러나야. 전대도 연기해야"
그러나 당 사수파는 법원 판결을 환영하며 신기남 의원실에서 대책회의를 열고 벌써부터 김근태 책임론을 제기하며 전대 연기론까지 주장하고 나서고 있다.
당 사수파인 백원우 의원은 “비대위가 당헌당규 개정에 대해 엄격한 해석 없이 한 부분 책임이 있다”고 당 지도부 책임론을 제기하며 “2.14전당대회를 그대로 개최할 일은 아닌 것 같다”고 전당대회 연기를 주장했다. 신당 창당을 논의할 전당대회 자체를 백지화시키려 하고 있는 것.
비대위원인 정장선 의원도 “오늘 법원에서 효력정지 가처분결정을 내린 부분에는 비대위가 가장 큰 책임이 있다”며 “비대위는 중앙위를 통해 전원사퇴를 요구하면 그 권한을 어떻게 넘겨줄지에 대해 논의해야 하며, 현 비대위는 절대 유지시킬 수 없다는 생각이다. 중앙위를 거쳐 위임받는 과정을 밟으면 혼란스럽겠지만 현 비대위원들은 물러나야 한다. 이후 의원들이 전당대회 여부를 결정해야 할 것이며 이같은 사법부 판결을 받은 데 대해 매우 창피하다”고 비대위 즉각 사퇴를 주장했다.
원혜영 "중앙위 열어서 결정하면 돼"
이에 대해 비대위의 이목희 의원은 “가처분 발표부터 당헌당규 효력이 정지되는 것이기에 법원 판결 이전에 대해서는 소급 적용이 되지 않는다"며 "지금까지 진행된 일에 대해 크게 문제될 것이 없다”고 예정대로 전대를 치뤄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런 부분에서 더 큰 것은 이런 일이 생기는 상황에서 당을 같이 해야 하느냐라는 것"이라며 "정치 문제를 법정으로 끌고가는 상황에서 불만이 더 쏟아질 것”이라고 당 사수파를 비난했다.
원혜영 전대 준비위원장은 “중앙위를 다시 열어서 하면 될 일이다. 중앙위에서 3분의 2 이상 찬성을 거치면 될 일이라서 큰 문제는 없다. 아침 비대위에서도 이를 점검했다”며 전대를 예정대로 치룰 것임을 분명히 했다.
비대위원인 이석현 의원도 “구 당헌대로 할 수 있는 방안이 있고, 또는 가처분 결정을 존중해서 중앙위를 다시 열어 결의하면 될 일”이라며 “전대 날짜 변경도 크게 수정할 일은 아닌 것 같다. 비대위에서 다수 의견이 보정할 부분만 하면 된다는 의견”이라고 밝혔다.
중앙위 소집도 쉽지 않아
그러나 중앙위 개최도 쉽지 않을 전망이다.
열린우리당의 중앙위원은 지도부등 당연직 중앙위원을 포함해 80여명. 지도부를 제외하면 68명이다. 그러나 일부 중앙위원들이 그동안 사퇴 입장을 밝힌 뒤 사퇴 했는지가 확인되지 않고 있어 중앙위원이 몇명인지조차 당장 확인이 안되는 상황이다.
또 중앙위원을 겸직중인 의원들 10여명이 현재 해외 체류중으로 당장 중앙위 개최를 개최하는 것도 어렵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