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물가 4.4%↑, '정부 수정목표 4%'도 힘들듯
하반기에는 '공공요금 대란' 강타할듯
6월 소비자물가가 4.4% 급등하면서 6개월째 4%대의 고공행진을 이어가, 정부가 수정 목표로 제시한 '4%'도 달성하기 힘든 게 아니냐는 관측을 낳고 있다.
1일 통계청에 따르면 6월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4.4% 상승했으며, 전월 대비로도 0.2% 올라 상승세가 꺾이지 않고 있음을 보여줬다.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로 지난 1월 4.1% 오른 이후 2월 4.5%, 3월 4.7%, 4월 4.2%, 5월 4.1%, 6월 4.4% 등 반년째 4%대 고공행진을 계속하고 있다.
특히 농산물가 석유류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3.7% 올라 2009년 5월(3.9%) 이후 25개월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근원물가는 전달보다는 0.3% 올라 8개월 연속 상승세를 보였다.
부문별로 농축수산물이 9.3% 올랐다. 이 중 돼지고기 폭등(46.3%)으로 축산물이 13.8% 오르면서 물가급등을 주도했고, 수산물은 8.9%, 농산물은 7.4% 각각 올랐다. 돼지고기외에 쌀(12.9%), 마늘(43.7%), 고춧가루(25.8%), 달걀(29.6%), 콩(61.3%) 등도 크게 올랐다.
공업제품도 석유류(12.6%)의 가파른 오름세의 영향으로 5.8% 상승했다.
서비스 가운데 전세(4.6%)와 월세(2.8%)의 오름세가 지속됐고 미용료(8.3%), 단과 대입학원비(5.6%)도 상승했다. 반면 무상급식 실시 여파로 학교 급식비(-21.2%)만 하락했다. 공공서비스는 도시가스(10.4%), 치과진료지(3.5%), 시내버스요금(2.4%)이 올랐다.
하반기에는 정부가 버스·지하철 등 대중교통요금을 15% 인상하고 전기료, 가스료, 상하수도료, 쓰레기수거료, 공원입장료 등도 줄줄이 인상한다는 방침이어서 '공공요금 대란'이 물가폭등을 한층 부채질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를 낳고 있다.
1일 통계청에 따르면 6월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4.4% 상승했으며, 전월 대비로도 0.2% 올라 상승세가 꺾이지 않고 있음을 보여줬다.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로 지난 1월 4.1% 오른 이후 2월 4.5%, 3월 4.7%, 4월 4.2%, 5월 4.1%, 6월 4.4% 등 반년째 4%대 고공행진을 계속하고 있다.
특히 농산물가 석유류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3.7% 올라 2009년 5월(3.9%) 이후 25개월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근원물가는 전달보다는 0.3% 올라 8개월 연속 상승세를 보였다.
부문별로 농축수산물이 9.3% 올랐다. 이 중 돼지고기 폭등(46.3%)으로 축산물이 13.8% 오르면서 물가급등을 주도했고, 수산물은 8.9%, 농산물은 7.4% 각각 올랐다. 돼지고기외에 쌀(12.9%), 마늘(43.7%), 고춧가루(25.8%), 달걀(29.6%), 콩(61.3%) 등도 크게 올랐다.
공업제품도 석유류(12.6%)의 가파른 오름세의 영향으로 5.8% 상승했다.
서비스 가운데 전세(4.6%)와 월세(2.8%)의 오름세가 지속됐고 미용료(8.3%), 단과 대입학원비(5.6%)도 상승했다. 반면 무상급식 실시 여파로 학교 급식비(-21.2%)만 하락했다. 공공서비스는 도시가스(10.4%), 치과진료지(3.5%), 시내버스요금(2.4%)이 올랐다.
하반기에는 정부가 버스·지하철 등 대중교통요금을 15% 인상하고 전기료, 가스료, 상하수도료, 쓰레기수거료, 공원입장료 등도 줄줄이 인상한다는 방침이어서 '공공요금 대란'이 물가폭등을 한층 부채질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를 낳고 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