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소득 증가율, 가계소득의 2배 넘어
저금리 고환율, 부자감세 등 MB노믹스가 주요인
29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기업소득 규모는 280조6천억원으로 전년보다 18.3% 증가한 반면, 가계소득 규모는 727조2천억원으로 전년보다 7.3% 증가에 그쳤다. 기업소득이 가계소득보다 2배 이상 빠르게 늘어난 것이다.
기업소득 증가율은 2000년 초반 두자릿수 증가율을 보이며 가계소득 증가율을 상회했으나 2000년 중반 들어 역전됐다가 2007년부터 다시 기업 수익력이 가계 수익력을 크게 앞질렀다.
2007년과 2008년의 경우 기업소득 증가율은 전년 대비 각각 12.8%, 10.3%로 같은 기간 가계소득 증가율 5.2%와 4.4%를 2배 이상 웃돌았고, 특히 2009년에는 기업소득 증가율이 9.0%로 가계소득 증가율 2.9%의 3배가 넘었다.
이는 MB정부가 '저금리 고환율'과 부자감세 정책을 취하면서 수출 대기업들의 수익력은 높아진 반면, 내수경기는 침체하면서 가계 소득력은 약화된 결과로 풀이된다.
이같이 기업-가계간 양극화가 심화됨녀서 국민총소득(GNI)에서도 기업 비중은 높아진 반면 가계 비중은 낮아졌다.
GNI 대비 기업소득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7년 20.2%, 2008년 21.0%, 2009년 22.2%, 2010년 23.9%로 꾸준히 늘어난 반면, 가계소득 비중은 64.6%, 63.7%, 63.4%, 62.0%로 줄어들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