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기업소득 증가율, 가계소득의 2배 넘어

저금리 고환율, 부자감세 등 MB노믹스가 주요인

지난해 기업의 소득 증가율이 가계소득 증가율을 두 배 이상 웃돈 것으로 나타나, 현 정부 정책이 '기업 프랜들리'임을 재차 입증해줬다.

29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기업소득 규모는 280조6천억원으로 전년보다 18.3% 증가한 반면, 가계소득 규모는 727조2천억원으로 전년보다 7.3% 증가에 그쳤다. 기업소득이 가계소득보다 2배 이상 빠르게 늘어난 것이다.

기업소득 증가율은 2000년 초반 두자릿수 증가율을 보이며 가계소득 증가율을 상회했으나 2000년 중반 들어 역전됐다가 2007년부터 다시 기업 수익력이 가계 수익력을 크게 앞질렀다.

2007년과 2008년의 경우 기업소득 증가율은 전년 대비 각각 12.8%, 10.3%로 같은 기간 가계소득 증가율 5.2%와 4.4%를 2배 이상 웃돌았고, 특히 2009년에는 기업소득 증가율이 9.0%로 가계소득 증가율 2.9%의 3배가 넘었다.

이는 MB정부가 '저금리 고환율'과 부자감세 정책을 취하면서 수출 대기업들의 수익력은 높아진 반면, 내수경기는 침체하면서 가계 소득력은 약화된 결과로 풀이된다.

이같이 기업-가계간 양극화가 심화됨녀서 국민총소득(GNI)에서도 기업 비중은 높아진 반면 가계 비중은 낮아졌다.

GNI 대비 기업소득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7년 20.2%, 2008년 21.0%, 2009년 22.2%, 2010년 23.9%로 꾸준히 늘어난 반면, 가계소득 비중은 64.6%, 63.7%, 63.4%, 62.0%로 줄어들었다.
박태견 기자

댓글이 6 개 있습니다.

  • 5 0
    버리자GDP

    부자는 더 부자로
    서민중산층은 더 힘겹게

    왜나라당의 정책방향이 바뀌진 않는다.
    그들은 오로지 국가총생산량에만 목매고 있으니 말이다.
    GDP와 그에 좌우되는 경제성장률만 보는 현정권으로는
    전혀 희망이 없다.

  • 4 0
    ㅋㅋ

    일부 귀족들빼고는 허리휘게 일 해도 입에 풀칠하기 바쁘다..
    그 이유가 노동착취 때문이다.

  • 4 0
    꼬부기

    수출에 의존하니까 수출만하면...그 알맹이가 시민들한테 떨어졌나?...낙수효과는 개뿔이...부자감세해줬더니..낙수가 아니라..중산층,서민한테 오줌누더라..그게 낙수다.세계는 갈수록 내수시장에 의존하고 보호무역으로 간다..입으로만 공조 공조 그러는데..너같아도 옆집위해 지갑열기 싫지?...하물며 맹박이가 아무리 열변을 토해도..세계무역이 증가할수가 없다.

  • 1 7
    111

    111 이 자야 증가율이 잖아

  • 5 0
    꼬부기

    111/그럼 가계는 이윤을 안남기고소득없이 흙파먹고 살아야하냐?뭐 저런 멍멍이가 있나?...그만큼 가계가처분 소득이 감소한것이고 이는 그만큼 한국의 내수시장이 악화되고 주식과 부동산시장이 얼어붙는다는 뜻이야.

  • 0 8
    111

    기업과 가계를 비교하다니 . 참 딱하다 ..........
    기업은 이윤을 남기고 직원들 월급을 줘야 하고 하는거재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