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재섭 "내가 물러나면 당 쪼개져"
당 사퇴 거부. 이명박-박근혜 정례회동, 감찰위원회 설치 제안
강재섭 한나라당 대표는 30일 재보선 참패에 따른 지도부 총사퇴 압박을 일축하며 "지금은 제가 물러나지 않는 것이 아니라, 물러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대표직 고수 입장을 분명히 했다.
"내가 물러나면 이명박-박근혜 갈등으로 당 깨질 수도"
강 대표는 이 날 오전 서울 염창동 당사에서 가진 기자회견을 통해 "제가 물러나면, 당장 새 지도부 구성을 놓고 당내 갈등과 혼란이 증폭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특히 자신이 물러나지 못하는 이유로 이명박 전 서울시장과 박근혜 전 대표 진영간의 격한 대립을 들었다. 그는 "자칫 당이 깨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며 "이런 상황을 반기고 즐길 세력이 누구인지 잘 알고 있지 않냐"고 반문했다. 그는 이어 "유력주자의 캠프들은 의원과 당협위원장 끌어들이기에 여념이 없다"며 "심지어 당직자까지 빼내가고 있다"고 양 진영을 싸잡아 비판했다.
그는 이에 "경선을 앞두고 제가 홀가분하게 물러나는 것이야말로 오히려 무책임하다고 생각한다"며 "마음을 가다듬고 새롭게 출발하겠습니다.다시 민심을 얻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대표직속 '감찰위원회' 설치, 당협위원장도 재산공개 의무화
강 대표는 예고한대로 대표직 사퇴 대신 당 쇄신안을 이 날 발표했다.
그는 당 쇄신안으로 ▲부패와의 전쟁 ▲후보에서 당 중심체제로의 확립 등을 주장한 뒤, 이명박-박근혜 양 대권주자에 대해서도 ▲양자간 간담회 정례화 ▲캠프합류 의원 최소화 ▲상호비방 중단 ▲공정-정책-상생경선 협약 체결 ▲당 문호 개방 등을 요구했다.
그는 우선 부정부패 청산과 관련해선, 국회의원들에게만 적용되던 재산공개를 모든 당협위원장까지 확대하고 지방의원들도 영리활동과 관련된 겸직 금지 등을 제안했다. 그는 자신이 연루된 벌금 대납 의혹에 대해서도 "어떤 가혹한 처벌도 달게 받겠다"고 밝혔다. 그는 또한 대표 직속으로 '감찰위원회'를 신설해 당원들의 비리를 상시 암행감찰하고, 부정부패 혐의가 있으면 수사를 의뢰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이명박-박근혜간 가장 큰 논란의 불씨가 되고 있는 '경선 룰'과 관련해선, "후보 대리인들이 참여하고 있는 '당헌당규개정특위'에는 더 이상 기대할 것이 없다"며 "당 대표가 직접 팔을 걷어 붙이고 최고위원회의에서 매듭짓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후보 검증과 관련해서는 "빠른 시일 내에 대선후보선출관리위원회와 국민검증위원회를 출범시키겠다"며 "캠프에서 상근하는 인사들은 배제되고 외부인사 위주로 구성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선관위가 발족되면 바로 예비후보등록을 받겠다"며 "선관위 산하에 ‘네거티브 감시위원회’를 설치해, 캠프들끼리의 근거 없는 비방과 음해에 강력히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그는 핵심당직 개편을 통해 "모든 당직자가 중립서약을 하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명박-박근혜 정례간담회 갖자"
한편 강 대표는 이명박-박근혜 양 진영의 격한 대립 방지 차원에서 양자간 격주간 정례 간담회를 제안했다.
그는 이와 함께 캠프 상근 현역의원들의 수를 최소화 해 달라고 양 후보진영에 촉구했다. 그는 특히 "주자들 해외순방에 동행하느라 상임위를 1주일씩 빼먹은 의원도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특히 양 진영 합류 의원들의 언사가 지나치다고 판단, "앞으로 정도를 넘는 음해성 언동의 당사자는 윤리위원회에 회부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아울러 "국민적 대표성을 지닌 지도자급 인사들을 최고위원으로 모시겠다"며 "필요하다면 지명직 최고위원 정수를 늘릴 수도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날 강 대표는 당 쇄신안 발표에도 자신의 사퇴를 촉구하는 당 안팎의 곱지 않은 시선을 의식한듯, "저는 결코 자리에 연연하지 않을 것"이라며 "당내 경선이 끝나면, 대선후보와 협의해서 연말 대선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거취를 결정하겠다"고 '조건부 유임'임을 강조했다.그는 그러나 기존 재신임을 통해 대표직을 유지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검토할 뜻이 없음을 시사했다.
강 대표는 10여분 간의 기자회견 직후 수많은 취재진의 질문 요청에도 불구 "오늘은 1문1답을 받지 않겠다"며 "모든 걸 다 던져서 얘기했다"고 말한 뒤 기자회견장을 떠났다.
"내가 물러나면 이명박-박근혜 갈등으로 당 깨질 수도"
강 대표는 이 날 오전 서울 염창동 당사에서 가진 기자회견을 통해 "제가 물러나면, 당장 새 지도부 구성을 놓고 당내 갈등과 혼란이 증폭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특히 자신이 물러나지 못하는 이유로 이명박 전 서울시장과 박근혜 전 대표 진영간의 격한 대립을 들었다. 그는 "자칫 당이 깨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며 "이런 상황을 반기고 즐길 세력이 누구인지 잘 알고 있지 않냐"고 반문했다. 그는 이어 "유력주자의 캠프들은 의원과 당협위원장 끌어들이기에 여념이 없다"며 "심지어 당직자까지 빼내가고 있다"고 양 진영을 싸잡아 비판했다.
그는 이에 "경선을 앞두고 제가 홀가분하게 물러나는 것이야말로 오히려 무책임하다고 생각한다"며 "마음을 가다듬고 새롭게 출발하겠습니다.다시 민심을 얻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대표직속 '감찰위원회' 설치, 당협위원장도 재산공개 의무화
강 대표는 예고한대로 대표직 사퇴 대신 당 쇄신안을 이 날 발표했다.
그는 당 쇄신안으로 ▲부패와의 전쟁 ▲후보에서 당 중심체제로의 확립 등을 주장한 뒤, 이명박-박근혜 양 대권주자에 대해서도 ▲양자간 간담회 정례화 ▲캠프합류 의원 최소화 ▲상호비방 중단 ▲공정-정책-상생경선 협약 체결 ▲당 문호 개방 등을 요구했다.
그는 우선 부정부패 청산과 관련해선, 국회의원들에게만 적용되던 재산공개를 모든 당협위원장까지 확대하고 지방의원들도 영리활동과 관련된 겸직 금지 등을 제안했다. 그는 자신이 연루된 벌금 대납 의혹에 대해서도 "어떤 가혹한 처벌도 달게 받겠다"고 밝혔다. 그는 또한 대표 직속으로 '감찰위원회'를 신설해 당원들의 비리를 상시 암행감찰하고, 부정부패 혐의가 있으면 수사를 의뢰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이명박-박근혜간 가장 큰 논란의 불씨가 되고 있는 '경선 룰'과 관련해선, "후보 대리인들이 참여하고 있는 '당헌당규개정특위'에는 더 이상 기대할 것이 없다"며 "당 대표가 직접 팔을 걷어 붙이고 최고위원회의에서 매듭짓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후보 검증과 관련해서는 "빠른 시일 내에 대선후보선출관리위원회와 국민검증위원회를 출범시키겠다"며 "캠프에서 상근하는 인사들은 배제되고 외부인사 위주로 구성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선관위가 발족되면 바로 예비후보등록을 받겠다"며 "선관위 산하에 ‘네거티브 감시위원회’를 설치해, 캠프들끼리의 근거 없는 비방과 음해에 강력히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그는 핵심당직 개편을 통해 "모든 당직자가 중립서약을 하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명박-박근혜 정례간담회 갖자"
한편 강 대표는 이명박-박근혜 양 진영의 격한 대립 방지 차원에서 양자간 격주간 정례 간담회를 제안했다.
그는 이와 함께 캠프 상근 현역의원들의 수를 최소화 해 달라고 양 후보진영에 촉구했다. 그는 특히 "주자들 해외순방에 동행하느라 상임위를 1주일씩 빼먹은 의원도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특히 양 진영 합류 의원들의 언사가 지나치다고 판단, "앞으로 정도를 넘는 음해성 언동의 당사자는 윤리위원회에 회부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아울러 "국민적 대표성을 지닌 지도자급 인사들을 최고위원으로 모시겠다"며 "필요하다면 지명직 최고위원 정수를 늘릴 수도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날 강 대표는 당 쇄신안 발표에도 자신의 사퇴를 촉구하는 당 안팎의 곱지 않은 시선을 의식한듯, "저는 결코 자리에 연연하지 않을 것"이라며 "당내 경선이 끝나면, 대선후보와 협의해서 연말 대선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거취를 결정하겠다"고 '조건부 유임'임을 강조했다.그는 그러나 기존 재신임을 통해 대표직을 유지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검토할 뜻이 없음을 시사했다.
강 대표는 10여분 간의 기자회견 직후 수많은 취재진의 질문 요청에도 불구 "오늘은 1문1답을 받지 않겠다"며 "모든 걸 다 던져서 얘기했다"고 말한 뒤 기자회견장을 떠났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