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내년 성장률 3.7%로 낮춰. 대규모 재정적자 불가피
MB 집권 5년내내 재정적자, 해방후 '최악의 적자 정권'
기획재정부는 12일 오전 이명박 대통령이 주재한 비상경제대책회의에서 "세계경제 둔화와 불확실성 등의 영향으로 우리 경제는 연간 3.7% 성장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보고했다.
재정부는 특히 "상반기에는 선진국 경기부진과 불확실성으로 전기대비 1%를 하회하는 성장률을 예상한다"며 "유럽 재정위기에 대한 해결방안이 구체화될 경우 하반기에는 불확실성이 점차 완화되면서 잠재 수준의 성장을 회복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재정부는 내년도 소비자물가는 3.2% 상승을 예상하면서도 "다만 신흥국 수요증가, 이란 등 중동 정세불안, 기상이변 가능성 등이 상승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덧붙여, 해외 불안이 심화될 경우 그 이상의 급등 가능성도 열어놓았다.
재정부는 특히 "개인서비스요금 인상압력은 다소 높을 전망"이라며 "공공요금은 안정기조를 유지할 방침이나 원가보상률이 낮은 전기-가스 등은 상승요인이 잠재해 있고, 높은 기대인플레이션 등으로 그동안 인상이 억제됐던 학원비, 의료비 등 개인서비스요금 인상 압력이 높아질 전망"이라고 예측했다.
실업률은 3.5%로 금년과 유사할 것으로 예상하면서도 "취업자 증가폭(28만명 증가)이 2011년에 비해 낮아지면서 고용률과 실업률의 개선이 다소 약화될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정부의 이같은 내년도 경제전망은 앞서 한은이 내년 예상치를 4.6%에서 3.7%로 0.9%포인트나 낮춘 것보다 예상치를 1.3%포인트나 낮춘 것이어서, 무엇보다 예상 세수 급감에 따른 대규모 재정적자 발생이 우려되고 있다.
또한 정부는 내년도 총선·대선을 의식해 0~5세 무상보육 전면 실시 등 한나라당의 복지예산 증액 요구를 대폭 수용한다는 방침이어서 내년도 재정적자는 더욱 눈덩이처럼 커질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결론적으로 MB정권은 집권 마지막해까지 대규모 재정적자를 기록하면서 해방이후 가장 재정건전성을 악화시킨 최악의 정권으로 기록될 전망이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